본문으로 바로가기

과학기술정책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정보

이슈분석

이슈분석

[이슈분석 140호] 중국 신인프라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국가 중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발간일 2020-05-22
  • 권호 140

1. 추진 배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은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된 경기 회복을 위해 5G 통신망, 산업 인터넷 등 () 인프라분야에 막대한 투자금을 유입시켜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을 발표(3.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8년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5G 상용화의 가속화, AI·산업 인터넷·IoT 신 인프라 설비 건설 강화를 제시하면서, ‘신 인프라개념을 제시


 - 신 인프라 사업은 7개 분야로, 5G 통신망 확충, AI 투자, 데이터센터 추가 건설, 산업 인터넷 확대, 고속·도시철도 노선 연장, 특고압 설비 확충, 전기차 충전소 확대 등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3월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시진핑 주석이 “5G망 구축, 데이터센터 건설 등 신 인프라 건설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본 고에서는 중국의 신 인프라 관련 7가지 중점 분야별 그간 추진되어 온 정책 현황을 파악하고, 중점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 주요 선진국 대비 중국의 인프라 수준 평가


- 중국 정부 주도의 신 인프라 추진 7개 사업의 지원 정책 및 현황 조사


- 중국 신 인프라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 도출



1-1.PNG




2. 인프라 수준 국제 비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세계경제포럼(WEF)<‘19년 세계 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인프라 수준 점수가 77.9점으로 141개 국 중 총 36위를 차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이 선진국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수준이 미흡한 편이나,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으로 빠른 추격이 예상 



1-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의 에너지 경제 인프라 총액은 세계 1위이나 1인당 수준은 매우 저조함


 - 중국 고속도로 주행 거리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나 밀도는 일본보다 저조



1-3.PNG




 - 중국 인터넷 범위는 61%로 미국 76%, 일본 85%보다 현저히 낮음 



1-4.PNG




3. 신 인프라 분야별 정책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은 디지털 경제실현에 핵심 인프라 시설인 ‘7개 인프라투자를 강화할 전망이며, 규모는 총 34조위안(59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G 네트워크, 산업용 인터넷, AI, 빅 데이터 센터 활용 등을 중심으로 국가 경제의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지능화 전환 목표

 

< 신 인프라 중점 방향 >

5G 인터넷 인텔리전스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정보 네트워크 구축

도시간 교통 연계로 스마트 시티를 실현하고, 새로운 유형의 교통 네트워크 구축

신에너지 기술 연구 강화 및 새로운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 촉진

새로운인프라의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여 관련 산업의 공동 개발을 촉진


. 5G 통신망 확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차세대정보기술 산업규획(2016~2020)에서 2020년까지 5G 국제표준 및 산업의 선도자로 부상을 목표로 설정


 - ‘13IMT-2020(5G포럼기구) 추진팀 설립 이후, 5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오고 있음



1-6.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은 2020~2030년간 5G 네트워크 분야에 총 4,110억 달러를 투자할 전망


 - 5G 기지국은 5G 네트워크의 핵심 설비로,’19년 말 중국 5G 기지국은 수량은 13만개를 초과하였으며, ‘20년까지 60~80만개 이상의 5G 통신망이 건설 예정

  

  * 주요국 5G 기지국 목표 : 미국(60), 독일(4만이상), 일본(7)



1-7.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205G는 약 4,840억 위안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며, 54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


 - ’25, ‘30년에는 각각 3.3조 위안, 6.3조 위안으로 성장하고, 연 성장률이 29%에 달할 전망


 - ’25년에는 5G 관련 설비제조와 통신 사업 단계에서 약 350만개의 일자리를 예상하며, ‘30년에는 통신·인터넷 서비스 기업에서 800만 이상의 일자리를 기대



8.PNG




. AI 투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과기부는 <국가 차세대 AI 혁신 발전 시험구 건설 업무 지침>을 발표하고, 2023년까지 20여개의 시험구를 건설하여 AI 혁신의 허브 구축을 천명


 - ‘19년 베이징, 상하이, 톈진, 선전, 항저우, 허페이, 저장성 더칭현 등을 시험구로 지정 후, 올해 3월 충칭, 청두, 시안, 지안을 추가로 선정하여 총 11개로 확대 


9.PNG



10.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중국 AI 시장 규모는 489.3억 위안으로 27.5%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향후 3년간 안정적으로 발전할 전망


 -‘19년 들어 투자건수가 급격하게 하락하였으나, 분야별로 보면 소프트웨어 기술력 향상과 하드웨어 제품 보급화에 중점적으로 투자를 강화


 - ’22년 중국 AI 시장 규모는 천 억 위안 초과 예상

 


. 빅데이터 센터 건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스마트+ 제조업의 양화융합(兩化 공업화와 정보화의 융합) 기반으로 산업용 빅데이터 지원 정책을 추진


 - R&D부터 설계, 제조 및 공급까지 빅데이터 기술 개발에 착수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수요와 공급간 연계 강화


 - 산업 빅데이터 기술 개발, 산업 응용 프로그램 및 표준화 프로세스, 산업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기타 기술의 통합을 적극 촉진



1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중국 데이터센터 수는 약 7.4만개이며, 세계 데이터 센터의 약 23%를 차지하고, 데이터 센터 서버 랙 수는 227만개에 달함


 - 초대형, 대형 데이터 센터 점유율은 12.7%에 달하나, 현재 구축중인 데이터 센터 320개를 합치면, 전체 점유율 36.1% 예상 



1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중국 데이터센터 IT 투자 규모는 약 3,698.1억 위안이며, ’20년에는 규모가 12.7% 증가해 4,166.8억 위안에 달할 전망

 

 -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해 더 많은 산업에서 활용될 전망이라, ‘25년에는 7,070.9억 위안까지 IT 투자 규모가 늘어날 전망


. 산업인터넷 확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8~’203년간 시작단계로, 초고신뢰·저지연 통신 산업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를 건설하였으며, 2020년까지 5G+ 산업 인터넷에 중점 투자할 예정

 

  ※ 산업인터넷은 기업의 생산, 경영, 관리, 판매 등 전 과정에서 연동되는 네트워크화 구조 구축 및 자동화·스마트 수 향상을 목표로 사용되는 모든 생산 설비, 통신 기술, 조직 플랫폼,

      S/W 응용 및 보안 솔루션임 


 - ‘18년 산업정보화부는 <산업 인터넷 발전 행동 계획(2018-2020)>에서 산업 및 학제간 플랫폼은 30만 개 이상의 산업기업 클라우드를 촉진하고 30만개의 산업 APP개발을  추진 중


 - ’25년까지 3~5개 세계 수준의 산업 인터넷 플랫폼 구축 예정 



13.PNG




 마. 특고압 설비 확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에너지국은 총 전송 용량 5,700만 킬로와트를 통해 9개 송변환 프로젝트 건설을 가속화 할 전망 



14.PNG




 - 중국 국가전력망(State Grid)데이터에 따르면 ’196월까지 ‘910의 완공과 건설 중인 ‘31공정의 승인으로, 공정 누적 노선 길이가 27,570km, 누적 변압 용량은 29620kVA(kw)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2020년 국가전력망 예산은 4,000억 위안 규모이며, 사회적 투자로 약 8,000억 위안이 유치될 전망임


 - ‘20년 연내 난양(南陽)-싱먼(荊門)-창사(長沙), 난창(南昌)-창사(長沙), 싱먼(荊門)-우한(武漢) 특고압 교류와 바이허탄(白鶴灘)-장쑤(江蘇), 바이허탄(白鶴灘)-저장(浙江) 특고압 직류 등 7개의 특고압 공정 승인 예정

    


. 고속·도시철도 노선 연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은 도시간 고속철도 교통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오고 있으며, 철도 여객 운송량을 포함한 주요 운송 경제 지표에서 세계 1위를 차지


 - ‘19년 신규 철도 거리는 8,497km이며, 그 중 고속철도는 5,745km

  

  ※ 중국 대륙 총 35개 도시교통 운영궤도는 185개로, 총 거리는 5,761.4m



15.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도시간 고속철도는 거대 도시군으로 철도교통을 규획화 하여 에너지 지정, 실시간 전력 공급, 충전 방식 등을 신소재에 응용하여 기술혁신을 실현

 

 - 징진지,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 청위, 장쑤성 창장하류 도시에 적용


. 전기차 충전소 확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위해 공업정보부를 중심으로 ’15년 이래로 계속 신에너지 충전 인프라 산업이 확대되고 있음

 

 - ’19년 말 기준 중국 충전 인프라 총량은 121.9만대이며, 그 중 공공 충전기는 51.6만대, 개인용 충전기는 70.3만대임



16.PNG


17.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20202월까지, 장쑤성 공공 충전기 보유량은 중국 1위로, 공공 충전기 보유량은 65,827대이며, 그 뒤로 광동성, 베이징시가 각각 63,507, 60,829대를 차지

 

 - 신에너지 자동차 누적 판매량 및 충전기 보유량을 근거로 신에너지 자동차 대비 충전기 비율 현황을 보면 이미 3.5:1, ’157.84:1에 비해 큰 폭으로 성장



18.PNG




4. 시사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의 5G 통신망 구축의 가속화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5G 기반의 산업 생태계 구축 및 분야 확대를 위한 투자 필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G는 데이터 경제 활성화의 핵심이므로 정부의 5G+ 전략을 이행하기 위한 다양한 과제들을 수립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따른 일자리 창출에 집중


 - 중국정부는 5G를 중장기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올해까지 5G 기술개발과 네트워크 구축 분야에 5000억 위안(86조원) 이상 투자할 계획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G 상용화 관련 국가 R&D 투자를 확대하여,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한 파괴적인 연구성과 창출 지원 필요


 - 중국 3대 이동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은 향후 7년 동안 5G망 기반 정비에 1800억 달러(2083000억원)을 투자할 예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 소프트웨어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강점인 IT 서비스와 콘텐츠 분야에서 국제 표준을 확보하여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한 지원 강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은 ICT 분야에서 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대일로와 같은 전략으로 주변국의 인프라 건설에서 인력 양성까지 지원


 - 신남방 정책을 통해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우리 ICT 기술 공유를 위한 국제협력 확대가 요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과기정통부가 수립한 ICT 핵심 분야 국제표준화 대응 전략(‘19.11)에 제시한 ICT 융합 신산업 분야에 대한 지원 강화


 - 5G, 지능정보, 블록체인 등 D.N.A.핵심·기반 기술 뿐만 아니라 혁신성장 견인을 위한 공장, 시티, , 헬스 등 분야별 스마트기술(스마트X)과 무인이동체 등 융합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 확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일 간, 6G 표준화 표준화 협력이 본격화 되고 있는 단계이므로, 우리나라 주도의 표준화 자원과 국제협력 활동 지원 필요


 - 주요국은 ’28~‘30년을 6G 상용화를 목표로 초기 기술 선점을 위한 기술개발과 투자를 위한 준비작업 중이며,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성공한 우리나라의 주도가 예상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