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향후 과학기술・ 이노베이션의 방향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5-03-17
- 등록일 2025-04-04
- 권호 283
○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CSTI)는 3월 17일 개최된 회의에서 ‘제6기 과학기술・이노베이션 기본계획’ 추진 현황과 ‘통합이노베이션전략 2025’ 방향성 등에 대해 정리한 자료 발표
○ 제6기 과학기술・이노베이션 기본계획의 추진 현황
※ 내각부는 동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①첨단과학기술의 전략적 추진, ②지식 기반(연구력) 및 인재 육성의 강화, ③이노베이션 생태계 형성이라는 세 가지 축 중심의 정책을 추진 중
- 양자・AI 융합 기술센터인 G-QuAT을 설립하고 핵융합에너지산업협의회가 출범하였으며 AI 관련 법안 각의 결정
- K Program(경제안보 중요기술 육성 프로그램)이 출범하여 5,000억 엔이 투입되었으며, SIP(전략적 혁신 창조 프로그램) 제3기, BRIDGE(상용화 프로그램) 등에 총 760억 엔 투입
- 10조 엔 규모의 대학펀드 운용을 시작하였으며 산학계를 아우르는 박사 인재 육성 실행계획을 정리
- SBIR 제도 예산을 2,060억 엔으로 대폭 확대하며 글로벌 스타트업 엑셀러레이션 프로그램을 추진
○ 통합이노베이션전략 2025* 관련 방향성
* ‘제6기 과학기술・이노베이션 기본계획’의 최종 연차 전략이자, ‘제7기 기본계획’ 준비의 중간 전환점
- 해당 전략은 국내외 변화와 과학기술 혁신 환경을 반영해 기존 정책의 가속화 및 조정을 시행하고 시급한 과제에 대한 조기 대응을 추진할 예정
- 구체적으로는 AI 혁신 및 리스크 대응 정책과 K program 확대를 추진하고, 양자・핵융합・첨단소재 등에 대한 R&D를 가속할 예정
- 또한 인재 육성 강화를 위해 산학관 연계 인재 육성 플랫폼을 운영하고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SBIR 제도 기반 지원 및 민간 연구개발 투자 유도 정책을 병행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