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OECD AI 역량 지표 소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6-03
  • 등록일 2025-06-20
  • 권호 289

OECD는 정책 입안자들이 AI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인간의 능력과 비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증거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AI 역량 지표를 개발

  ※ 본 지표는 5년에 걸쳐 AI 연구자, 심리학자 및 다양한 전문가들의 참여로 개발되었으며, 이번 보고서는 베타 버전으로 AI 연구자 및 정책 입안자의 피드백 수렴을 목적으로 함

 - AI 역량 지표는 9개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 5개 척도로 측정되며 이때 AI 시스템에 가장 어려운 역량이 최상위에 위치

  * 언어,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 해결 능력, 창의성, 메타인지 및 비판적 사고, 지식학습기억, 시각, 조작, 로봇 지능

 - 본 지표는 AI가 인간의 능력에 얼마나 근접했는지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직무 요건과의 연계를 통해 어떤 직무가 AI에 의해 보조대체될 수 있는지에 대한 능력 격차 분석 가능

 - 또한 AI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활용되며, AI 시스템이 교육에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영역을 파악하고, 향후 재편되어야 할 과제 및 강화되어야 하는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하는 데 유용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