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통합혁신전략 2025 발표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CAO)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5-06-06
- 등록일 2025-06-27
- 권호 290
○ 일본 정부는 6월 6일 각료회의에서 「통합혁신전략 2025」를 발표
- 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의 5년째 연차전략으로서 6차 기본계획을 정리하는 동시에 7기 기본계획 관련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경제안보 등 거버넌스 강화에 관한 내용 포함
○ 첨단과학기술의 전략적 추진
- (핵심 분야의 전략적 추진) △AI 혁신 촉진과 리스크 대응 △차세대 정보통신 기반의 개발·도입 추진 △ 양자, 핵융합, 소재, 바이오 등 연구개발 추진 △건강·의료, 우주, 해양, 식량·농림수산, 환경·에너지 분야 추진
- (경제안보 등 관련 대응 강화) △ K program을 통한 연구개발 지원 △ 안전한 싱크탱크 설립 구체화
- (연구개발·상용화 추진) △전략적 혁신 창조 프로그램(SIP), BRIDGE, 문샷형 연구개발 추진 △재해 대응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 혁신 생태계 구축
- (연구개발형 스타트업 지원) △SBIR 제도 등을 통한 지속적 지원 △스타트업으로부터의 공공조달 촉진
- (도시 및 지역, 대학 등의 연계) △스타트업 생태계 거점도시의 강화 및 글로벌화 지원 △산학협력 및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글로벌 스타트업 캠퍼스 구상 추진
○ 7기 기본계획을 위한 논의 내용을 고려한 대응
- (경제안보와의 연계 강화) △중요기술의 연구개발 추진 △글로벌 전략 추진 △연구 보안 및 무결성 관련 대응 강화
- (연구력 강화 및 인재 육성)△대학 등의 운영 및 연구기반 강화 △인재육성 및 확보, 신진연구자 지원, △국제두뇌순환, 연구의 국제화 추진
- (혁신력 제고) 지역 혁신 추진, 지식재산 및 국제표준전략 추진, 중요기술 분야의 연구개발투자 촉진 등
- 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의 5년째 연차전략으로서 6차 기본계획을 정리하는 동시에 7기 기본계획 관련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경제안보 등 거버넌스 강화에 관한 내용 포함
○ 첨단과학기술의 전략적 추진
- (핵심 분야의 전략적 추진) △AI 혁신 촉진과 리스크 대응 △차세대 정보통신 기반의 개발·도입 추진 △ 양자, 핵융합, 소재, 바이오 등 연구개발 추진 △건강·의료, 우주, 해양, 식량·농림수산, 환경·에너지 분야 추진
- (경제안보 등 관련 대응 강화) △ K program을 통한 연구개발 지원 △ 안전한 싱크탱크 설립 구체화
- (연구개발·상용화 추진) △전략적 혁신 창조 프로그램(SIP), BRIDGE, 문샷형 연구개발 추진 △재해 대응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 혁신 생태계 구축
- (연구개발형 스타트업 지원) △SBIR 제도 등을 통한 지속적 지원 △스타트업으로부터의 공공조달 촉진
- (도시 및 지역, 대학 등의 연계) △스타트업 생태계 거점도시의 강화 및 글로벌화 지원 △산학협력 및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글로벌 스타트업 캠퍼스 구상 추진
○ 7기 기본계획을 위한 논의 내용을 고려한 대응
- (경제안보와의 연계 강화) △중요기술의 연구개발 추진 △글로벌 전략 추진 △연구 보안 및 무결성 관련 대응 강화
- (연구력 강화 및 인재 육성)△대학 등의 운영 및 연구기반 강화 △인재육성 및 확보, 신진연구자 지원, △국제두뇌순환, 연구의 국제화 추진
- (혁신력 제고) 지역 혁신 추진, 지식재산 및 국제표준전략 추진, 중요기술 분야의 연구개발투자 촉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