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UEZ(대학기업특구) 최종 영향 및 프로세스 평가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과학혁신기술부(DSIT)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7-04
  • 등록일 2025-07-11
  • 권호 291

과학혁신기술부는 대학기업특구(UEZ, University Enterprise Zones)의 운영 현황과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테크노폴리스에 UEZ 시범사업에 대한 3년간의 평가를 의뢰

 - UEZ는 저렴한 상업용 작업 공간을 조성하고 기업과 대학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본 펀딩 이니셔티브로, 5개 대학*이 보조금을 받아 2017년 개관

  * 케임브리지대학(브래드필드 센터), 브래드퍼드대학(디지털헬스 엔터프라이즈 존), 웨스트오브잉글랜드대학(퓨처 스페이스), 노팅엄대학(인제뉴이티 센터), 리버풀대학(센서 시티)

 - 이번 평가는 프로그램의 영향이 무엇인지, 프로그램이 해당 영향을 달성한 방법이 무엇인지, 자금 지원이 시장 실패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는지 등 총 3가지의 질문으로 구성

평가 결과, UEZ를 통해 대학-기업 간 협력 강화와 효과적인 시장실패 개입, 비용 대비 높은 가치를 실현했음을 확인

 - UEZ는 지역 혁신 주체 간 연결성과 협력의 격차를 성공적으로 해소했으며, 10만 파운드 이상의 부가가치와 신규 고용을 창출

 - 또한 프로그램이 성과를 창출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역별로 유효한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

 - 다만 대학-기업 간 협력 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약화되는 경향을 보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