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혁신 정책의 변화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5-06-30
- 등록일 2025-07-11
- 권호 291
○ 최근 몇 년간 STI 정책은 디지털 전환, 환경 지속가능성, 코로나19 대응 등 복잡한 과제를 해결해야 했으며, 디지털 기술의 노동 대체 문제나 극단 기후 등 사회적 차원과 연관되어 STI 정책의 영향력이 경제 및 생산성에만 국한되지 않음
- 이처럼 전통적인 과제가 새로운 우선순위와 얽혀서 변화하는 과정을 혁신정책 3.0이라고 부르며, 이 프레임워크에 의하면 혁신 자체가 본질적으로 유익하다고 가정되지 않으며, 보다 광범위한 사회/환경적 영향에 따라 평가됨
- 이 새로운 관점이 각 국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며, 해당 보고서는 24개 OECD 국가의 313개 국가 전략을 분석하여 혁신정책 3.0으로의 전환을 반영하는지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함
○ 분석 결과 혁신정책 3.0 관련 토픽이 분석된 35개 토픽 중 41.7%를 차지하였으며, 연구/기업혁신/생산성과 같은 전통적인 목표도 18.6%로 여전히 중요하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STI 목표와 결합되는 경향이 확인됨
- 녹색 전환이 주요 전환 동인 중 하나였으며, 사회 및 지역 포용성, 디지털 및 기술 전환 목표 역시 우선순위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음
- 이처럼 전통적인 과제가 새로운 우선순위와 얽혀서 변화하는 과정을 혁신정책 3.0이라고 부르며, 이 프레임워크에 의하면 혁신 자체가 본질적으로 유익하다고 가정되지 않으며, 보다 광범위한 사회/환경적 영향에 따라 평가됨
- 이 새로운 관점이 각 국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며, 해당 보고서는 24개 OECD 국가의 313개 국가 전략을 분석하여 혁신정책 3.0으로의 전환을 반영하는지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함
○ 분석 결과 혁신정책 3.0 관련 토픽이 분석된 35개 토픽 중 41.7%를 차지하였으며, 연구/기업혁신/생산성과 같은 전통적인 목표도 18.6%로 여전히 중요하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STI 목표와 결합되는 경향이 확인됨
- 녹색 전환이 주요 전환 동인 중 하나였으며, 사회 및 지역 포용성, 디지털 및 기술 전환 목표 역시 우선순위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