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지역 산학연계거점의 실태 등에 관한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8-13
  • 등록일 2025-08-29
  • 권호 294
○ 경제산업성은 산학연계거점 구축에 필요한 프로세스와 지원 조직·제도의 전체 개요를 정리하고, 핵심성공요인(KSF, Key success factor)을 조사한 보고서를 공개(Boston Consulting Group 작성)
※ 2024년도 기술개발조사 등 추진 사업의 조사 보고서
○ 조사를 통해 파악한 KSF
1) 프로세스
- (거점의 명확한 비전 설정과 주제의 구체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계자와 함께 비전 설정 △주제 설정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후 틈새 분야이나 세계적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설정
- (파트너가 되는 핵심 기업 및 지역 기업의 참여 유도 / 지역 과제 및 지역 수요 파악) △지역의 중소기업 뿐 아니라 핵심이 되는 대기업(지역 안팎)과도 연계 △대학, 지자체, 기업이 관계를 구축하면서 긴밀히 연계하여 지역 과제 및 수요 파악
- (프로젝트의 구체화 / 지식의 가치를 반영한 계약) △ 대학이 지닌 연구 및 기술과 기업을 매칭하여 프로젝트 추진 △ 지식의 가치를 반영한 계약의 구체화
- (각 프로젝트의 모니터링 / 애자일(Agile)한 매니지먼트) △대학의 학장과 기업 총수가 참여하는 가운데 정기적으로 진척 상황을 공유하여 애자일하게 목표 및 KPI 등을 재설정하면서 각 프로젝트를 추진
- (지식의 가치화 / 산학협력 창조 생태계 정착) △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 접근하며 본질적인 과제를 해결해 가는 생태계를 통해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차기 프로젝트 진행 △연구성과의 상용화를 통한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를 측정, 평가하여 생태계 정착 추진
2) 체제·시스템
- (최고 경영진의 참여 및 리더십 발휘) △최고 경영진이 주도하여 목표 및 비전 제시 △각 참여기관 및 프로젝트의 코디네이터가 현장에 참여
- (상용화를 위한 동기와 기술을 겸비한 연구자의 육성·확보)△ 지역사회 및 지역 기업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춘 연구자를 거점으로영입 △연수 및 체계적인 OJT를 통한 신진연구자 육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