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I 개방성: 정책 입안자를 위한 입문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8-14
  • 등록일 2025-08-29
  • 권호 294
○ OECD는 AI의 개방성(openness)의 개념을 살펴보고 관련 용어와 개방성의 다양한 수준에 대해 설명한 보고서 발표
- AI 발전과 함께 '오픈소스' 개념이 AI에 적용되었으나, 모델 가중치, 데이터, 코드 등 다양한 요소 때문에 기존 개념과 차이가 생김
- 본 보고서는 AI 개방성의 개념을 이분법이 아닌 스펙트럼으로 보고, 정책 논의에 필요한 공통된 이해와 근거를 제공하고자 함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달리 AI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있어, 공개 여부와 범위에 따라 ‘부분적 공개’부터 ‘완전 개방’까지 연속적인 형태를 띔
- 2025년 기준으로 open-weight 모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와 싱가포르 같은 클라우드 강국이 중요한 제공 허브로 부상하고 있음
- open-weight 모델은 1) 기존 모델을 기반으로 신속한 혁신, 2) 외부 평가 및 검증을 통한 책임성 강화, 3) 저비용 진입을 통한 AI 인재 육성, 보안 연구나 맞춤형 방어 체계에 활용이 가능함
- 하지만 동시에 악용, 지적재산권 위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한 번 공개된 모델은 회수 및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음
- AI의 개방성을 결정함에 있어 기존 기술 대비 추가 위험 및 편익을 평가해야 하며, 다양한 공개 수준을 조합한 유연한 거버넌스가 필요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