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지능의 거시경제적 함의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RAND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5-08-25
  • 등록일 2025-08-29
  • 권호 294
○ RAND연구소는 미국에서 인공지능(AI)의 도입에 따른 생산성 성장 잠재력과 노동 대체 위험이라는 이중적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보고서 발표
- 인공지능이 경제에 더욱 깊숙이 접목되면서 소득 증대를 이끌 수 있는 생산성 향상 가능성과 AI 자동화 위험이 높은 부문에서 상당한 노동 대체 가능성이 동시에 발생
- 보고서는 AI 기술 도입에 따른 미국 경제와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단, 국가별 AI 도입 격차나 국경 간 자본/노동의 이동에 대한 부분은 검토하지 않음)
- 경제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성장 시나리오가 미국 경제, 즉 1인당 GDP와 연방정부 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기업동향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부문에서 AI 도입 현황을 평가
- 연구 결과, △인공지능은 생산성 증가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이는 1인당 GDP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음, △데이터센터 건설은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음, △AI의 조기 도입은 노동자의 생산성을 보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향후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은 불확실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