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공업정보화부, 14차 5개년 계획 기간의 성과 소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공업정보화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9-09
- 등록일 2025-09-19
- 권호 296
○ 리러청 공업정보화부 부장(장관)은 "14차 5개년 계획의 고품질 완성"을 주제로 한 기자회견에서 14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제조업의 성장과 경제적 성과에 대해 소개
○ 주요내용
- ‘14.5’기간 중국의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액은 약 8조 위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제조업 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30% 초과
- 2020-2024년 중국의 전체 공업 부가가치는 31.3조 위안에서 40.5조 위안으로 증가하고, 제조업 부가가치는 26.6조 위안에서 33.6조 위안으로 증가
- 제조업 부가가치의 세계 비중은 30%에 육박, 총 규모는 15년 연속 세계 1위 차지
- 제조업 분류 체계의 완비된 우위가 더욱 뚜렷해지고, 전 세계 504종의 주요 공업제품 중 중국의 다수 제품의 생산량이 세계 1위를 차지
- 전통 산업은 중국 제조업의 주체이며, 부가가치, 고용 인원수 등 주요 지표는 모두 전체 제조업의 80% 차지
- ‘14.5’계획 이후 산업용 로봇의 신설 설비용량은 세계에서 50%를 차지
- (전망) 공업정보화부는 첨단제조업을 핵심으로 하는 현대화 산업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
※ 공업 기술개조와 설비갱신을 심층 추진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육성행동을 실시하며, 고수준 개방에 입각해 산업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할 계획
○ 주요내용
- ‘14.5’기간 중국의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액은 약 8조 위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제조업 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30% 초과
- 2020-2024년 중국의 전체 공업 부가가치는 31.3조 위안에서 40.5조 위안으로 증가하고, 제조업 부가가치는 26.6조 위안에서 33.6조 위안으로 증가
- 제조업 부가가치의 세계 비중은 30%에 육박, 총 규모는 15년 연속 세계 1위 차지
- 제조업 분류 체계의 완비된 우위가 더욱 뚜렷해지고, 전 세계 504종의 주요 공업제품 중 중국의 다수 제품의 생산량이 세계 1위를 차지
- 전통 산업은 중국 제조업의 주체이며, 부가가치, 고용 인원수 등 주요 지표는 모두 전체 제조업의 80% 차지
- ‘14.5’계획 이후 산업용 로봇의 신설 설비용량은 세계에서 50%를 차지
- (전망) 공업정보화부는 첨단제조업을 핵심으로 하는 현대화 산업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
※ 공업 기술개조와 설비갱신을 심층 추진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육성행동을 실시하며, 고수준 개방에 입각해 산업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