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농업분야 딥테크 혁신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WE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11-06
  • 등록일 2025-11-14
  • 권호 299
○ 전세계적으로 농업 분야는 인력 감소, 기후 극한 현상의 심화, 자연 자원 훼손, 식량 수요 증가, 지정학적 불안정성 등 다양한 압력에 마주하고 있음
-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가운데 딥테크로 불리는 혁신 기술은 향후 수십년 간 농업 분야에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 보고서는 주요 딥테크와 기능을 제시하고 있음
○ 주요 딥테크
1. 생성형 인공지능: 맞춤형 농업 자문 및 해충 관리부터 자율적인 AI 시스템과 기후 위험 시뮬레이션까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함
2. 컴퓨터 비전: 빠른 해충 및 질병 식별, 식물 스트레스 감지 등으로 활용됨
3. 엣지 사물인터넷: 농가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자율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함
4. 위성 기반 원격 감지: 낮은 비용으로 농장에 대한 지속적인 대규모 모니터링 및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함
5. 로보틱스: 정밀한 식재, 제초, 수확과 같은 노동 집약적인 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함
6. CRISPR: 가뭄 및 해충에 높은 저항성을 갖는 작물 개발을 가속화하여 전통적인 긴 육종 주기를 줄임
7. 나노기술: 영양소 및 농약 전달의 정밀성을 개선하여 투입량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킴
- 해당 보고서는 농업 딥테크 지원 최적화를 위한 정책 및 규제, 금융 및 투자, 인력, 데이터 및 디지털 인프라 분야 등의 권고사항을 함께 제공함

배너존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