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혁신형 국가’ 건설을 국가 발전 전략의 기본 목표로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1-10
  • 등록일 2006-01-12
  • 권호
중국은 ‘혁신형(創新型) 국가’ 건설을 국가 중·장기 발전 전략의 기본 목표로 선정하였다. 중국의 최근 연간 발전 상황 및 구체적인 지표들을 통해, 중국은 현재 이미 독자적인 혁신 전략을 실행하고 ‘혁신형 국가’를 건설할 수 있는 기초와 능력을 소유하였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게 되었다.

첫째, 중국의 과학기술 인력 자원은 현재 이미 3,200만 명 규모에 도달하였으며 연구 개발 인력은 105만 명/년 규모에 도달하여 세계 1위와 2위를 각각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은 ‘혁신형 국가’를 건설하는데 있어서 최대 우세가 되고 있다. 중국 교육의 신속한 발전에 따라 향후 더욱 많은 새로운 과학기술 혁신 인재들이 육성, 배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중국은 현재 이미 비교적 완벽한 학과 배치를 실현하였다. 중국처럼 학과 배치가 비교적 완벽한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다. 비교적 완벽한 학과 배치를 실현한 상황은 중국이 ‘혁신형 국가’를 건설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된다.

셋째, 중국은 현재 이미 일정한 독자적인 혁신 능력을 소유하였다. 중국의 생물, 나노, 우주 항공 등 중요한 분야 연구 개발 능력은 현재 이미 세계 선진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경제의 지속적이고 신속한 성장에 따라, 국가, 산업과 기업체의 경제 실력은 끊임 없이 강화되어 독자적인 혁신 능력으로 향상되었으며 ‘혁신형 국가’ 건설에 필요한 자본 토대도 강화되었다. 최근 중국의 연구 개발 투자 비용은 해마다 증가세를 나타내었는데 2004년에는 1,843억 위안 규모에 도달하였다.

다섯째, 중국에서는 시장을 목표로 기업이 주체가 되어 산, 학, 연이 상호 결합된 기술 혁신 시스템 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많은 대형 기업체들과 기업 그룹들은 연구 개발 투자 및 혁신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체제와 메커니즘을 구축함으로써 혁신 환경을 대폭 개선하였다.

여섯째, 중국은 독특한 전통 문화 우위와 교육을 중시하는 민족 전통을 가지고 있어 미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중국은 반드시 다양한 발전 루트를 선택해야 한다. 중국은 현재 ‘과학 발전 관념(科學發展觀)’과 ‘과교흥국(科敎興國, 과학기술과 교육으로 나라를 발전시킨다는 뜻)’, ‘지속 가능한 발전’, ‘인재 강국’ 등 3대 전략을 통해 중국의 ‘혁신형 국가’ 발전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중국의 인구당 GDP는 1,000달러 선을 넘어 섰지만 ‘과학기술 혁신 종합 지표’는 인구당 GDP가 5,000~6,000달러에 달하는 국가 수준과 동일한 수준에 있다. 현재 중국의 ‘혁신 능력 지수’는 20 수준(25 수준을 넘으면 ‘혁신형 국가’에 속함)에 도달하여 세계 개발도상국 중에서 ‘혁신형 국가’ 수준에 제일 가까이 다가온 나라에 속하고 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