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미래 15년 간 전략적인 첨단기술 중점 공략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1-11
  • 등록일 2006-01-13
  • 권호
중국과학원 원장 노용상(路甬祥) 원사(院士)는 지난 1월 10일 중국 북경에서 “미래 15년 간 중국은 IT, 바이오, 핵심 재료, 우주 항공, 원자력, 레이저 및 마이크로 나노, 전략 에너지 등 전략적인 첨단기술 분야에서 외국이 독점하고 있는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중점 공략을 실행하여 국가 안보를 보장하고 중요한 국제 기술 선행 연구에서 새로운 탐색과 혁신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노용상 원장는 “중국 정부는 경제 및 사회의 조화적인 발전, 국가 안보를 위한 전략적인 수요와 세계 과학기술 선행 연구 등 수요에 근거하여 핵심 기술의 혁신과 시스템 집중 및 선행적이고 전략적인 첨단기술 연구와 배치를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중국 정부는 2003년부터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조직하여 중국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 계획’을 작성하여 미래 15년 간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전면적인 배치 및 추진 계획을 제정하고 있다. 노용상 원장은 중국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 계획’ 중의 ‘첨단기술 및 첨단기술 산업 연구팀’ 팀장을 맡았다. 노용상 원장은 IT, 바이오, 핵심 재료, 우주 항공, 원자력, 레이저 및 마이크로 나노, 전략 에너지 등 전략적인 첨단기술 분야를 중점 공략한다는 목표를 제정하고 이런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 능력 형성을 중점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1986년에 중국 정부는 ‘국가 첨단기술 연구 개발 프로젝트’인 ‘863 계획’을 제정, 실행하였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첨단기술 산업화를 지원하는 여러 가지 구체적인 정책들을 제정, 실행함으로써 첨단기술 산업과 과학기술 기업체 발전을 대폭 추진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전략적인 첨단기술 발전 목표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혁신 능력이 취약하며 대부분의 첨단기술은 외국에서 도입되고 있다. 또한 첨단기술 연구 개발 및 산업화 발전에 대한 정부의 효과적인 투자가 부족하고 시장 경제 체제에 적응하는 전략적인 첨단기술 및 산업화 발전을 위한 ‘국가 혁신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라고 노용상 원장은 지적하고 있다.

노용상 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미래 15년 간 중국 정부는 국제 기술 발전 추세를 실시간으로 감시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는 ‘국제 기술 발전 추세에 대한 국가 감시 측정 및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전략적인 첨단기술 연구 개발 거점과 플랫폼을 구축하여 첨단기술 성과의 공정화를 추진하고 정부 위주의 전략적인 첨단기술 연구를 위한 투자 메커니즘을 구축하며 기업체 위주의 첨단기술 산업화를 위한 투자, 융자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국의 첨단기술 수준과 산업화 능력을 대폭 강화하게 된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