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국 엔지니어 수 부족 위기의식 대두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PEW연구센터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1-08
- 등록일 2006-01-18
- 권호
미국은 연간 7만 명의 엔지니어를 배출하고 있으나 인도는 34만 명, 중국은 64만 명을 매년 배출하고 있어 미국의 리더십이 위협받고 있으며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대두되고 있다.
듀크대학의 공과대학의 학장인 Vivek Wadhwa와 사회학 교수인 Gary Gereffi는 이러한 엔지니어 인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이들은 미국은 양적 또는 질적으로 추구하는가,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어떻게 전문 기술 직업을 미국에 유치하는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인도의 경우 34만 명은 4년제 대학을 비롯하여 3년제, 전문대학 등의 모든 졸업생을 포함한 수치로, 미국도 이와 같이 산정할 경우 거의 같은 수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미국의 인구는 인도 인구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중국 교육부에 따르면 전공 불문하고 4년제 대학 및 이하 졸업생도 포함한 것으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고 한다.
시스코의 CEO인 John Chambers에 따르면, 가장 우수하게 교육받는 인력에게 직업이 돌아가게 되며 전문적인 기술교육만으로 세계화되는 인력시장에서 성공하기는 어렵다. 즉, 자기 분야의 전체적인 시각으로 다른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고 설득력 있는 대화술, 다른 문화의 이해 그리고 리더십도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Americ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ors and the Accreditation Board on Engineerig and Technology(ABET)에 따르면, 미국에서 졸업하는 7만 명의 엔지니어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듀크대 공대학장인 Wadhwa는 기술적 교육을 넘어 엔지니어가 이노베이션을 추구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엔지니어는 사회에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 부를 창출하는 것이다. 그는 수적인 문제가 아니라 엔지니어가 배출되는 파이프라인에 대해 염려를 나타내었다. 4학년생의 과학 및 수학 실력은 세계에서 5번째이며 그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에는 21위로 떨어질 것이며 엔지니어링 졸업생의 여성은 20% 미만, 소수민족은 10% 미만으로 개혁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학 1학년생의 경우 지역적으로 수학이 필수과목이 아닌 곳이 있어 지역적으로도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와 중국에서 졸업하는 졸업생은 세계화 환경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며 이것은 전 세계에 맞이할 여러 문제점(재생에너지, 정수, 지속 가능한 환경, 의료비용 절감, 전염병 백신 등)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엔지니어가 부족한 것으로 우려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지금 조치하지 않고 공학 교육에 투자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리더십을 잃어버릴 것이며 많은 엔지니어를 교육하는 것이 지구의 한 시민의 책임이라고 말하였다.
듀크대학의 공과대학의 학장인 Vivek Wadhwa와 사회학 교수인 Gary Gereffi는 이러한 엔지니어 인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이들은 미국은 양적 또는 질적으로 추구하는가,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어떻게 전문 기술 직업을 미국에 유치하는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인도의 경우 34만 명은 4년제 대학을 비롯하여 3년제, 전문대학 등의 모든 졸업생을 포함한 수치로, 미국도 이와 같이 산정할 경우 거의 같은 수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미국의 인구는 인도 인구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중국 교육부에 따르면 전공 불문하고 4년제 대학 및 이하 졸업생도 포함한 것으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고 한다.
시스코의 CEO인 John Chambers에 따르면, 가장 우수하게 교육받는 인력에게 직업이 돌아가게 되며 전문적인 기술교육만으로 세계화되는 인력시장에서 성공하기는 어렵다. 즉, 자기 분야의 전체적인 시각으로 다른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고 설득력 있는 대화술, 다른 문화의 이해 그리고 리더십도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Americ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ors and the Accreditation Board on Engineerig and Technology(ABET)에 따르면, 미국에서 졸업하는 7만 명의 엔지니어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듀크대 공대학장인 Wadhwa는 기술적 교육을 넘어 엔지니어가 이노베이션을 추구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엔지니어는 사회에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 부를 창출하는 것이다. 그는 수적인 문제가 아니라 엔지니어가 배출되는 파이프라인에 대해 염려를 나타내었다. 4학년생의 과학 및 수학 실력은 세계에서 5번째이며 그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에는 21위로 떨어질 것이며 엔지니어링 졸업생의 여성은 20% 미만, 소수민족은 10% 미만으로 개혁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학 1학년생의 경우 지역적으로 수학이 필수과목이 아닌 곳이 있어 지역적으로도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와 중국에서 졸업하는 졸업생은 세계화 환경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며 이것은 전 세계에 맞이할 여러 문제점(재생에너지, 정수, 지속 가능한 환경, 의료비용 절감, 전염병 백신 등)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엔지니어가 부족한 것으로 우려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지금 조치하지 않고 공학 교육에 투자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리더십을 잃어버릴 것이며 많은 엔지니어를 교육하는 것이 지구의 한 시민의 책임이라고 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