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제11차 5개년 계획(’06~’10) 기업의 기술도입과 혁신 지원 활동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1-17
  • 등록일 2006-01-18
  • 권호
중국 과학기술부 고위관계자는 최근 신화사기자와의 인터뷰에서 ““10차 5개년 계획”(2000~2005년) 기간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능력은 현저하게 강화됐다”며 “각 항목 과학기술 프로젝트 실시가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일련의 중대한 혁신성과들이 속속 창출되면서, 이러한 과학기술 성과는 실질적으로 중국 경제성장과 국민들의 생활 질(質) 향상에 많은 기여를 했고,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사회 진보에 중대한 지원 역할을 발휘했다”고 밝혔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10차 5개년 계획”기간 동안 “혁신”과 “산업화” 목표를 둘러싸고 “산업기술 업그레이드 촉진”과 “지속적인 하이테크 혁신 능력 향상” 등의 전략을 배치했을 뿐만 아니라 ᅀ“863계획”, ᅀ“돌파계획”, ᅀ“973계획”, ᅀ“불꽃계획”, ᅀ“횃불계획” ᅀ국가 농업과학기술원구(園區) 구축, ᅀ국가 과학기술 기초조건 플랫폼 구축, ᅀ농업 과학기술 성과에 대한 산업화 공정 등 과학기술 프로젝트들을 실속있게 추진하여 실용 가치가 높은 과학기술 성과들을 많이 창출했다.

◇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중국은 통신설비, 고성능 컴퓨터, 신소재와 부품, 선진적 제조와 자동화 등 하이테크 기술 분야에서 중대한 진전을 획득했으며, 독자적인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하이테크 제품과 선도성 산업을 형성하여 신규 경제 성장 포인트를 육성했다. 예를 들면, 집적회로(IC) 산업만 보더라도 1999년 집적회로 산업의 생산액은 5억 위안에서 2004년에는 100억 위안을 기록해 중국 정보기술과 산업발전을 유력하게 추진하였다.

◇ 농업 과학기술에 대한 투입 강화를 통해 중국은 농업생산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농민의 장기적인 수입증가 메커니즘 구축 과정에서 과학기술 진보와 과학기술 혁신은 관건적인 역할을 발휘했다. 또한 국가 농업 과학기술원구는 본지방의 주도산업 육성을 통해 소재지역의 경제발전을 가속화했다. 따라서 3년 간 농업과학기술원구의 총생산액은 581억 위안이었으며, 주변지역 850만 농민 한사람당 연간 순수입은 200~500위안에 달했다.

◇ 과학기술 혁신은 각종 자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광산과 물 등 자원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절약형 사회를 건설하는 새로운 기술 방법을 개척했다. 또한 LED조명 등 하이테크 연구 개발을 통해 LED 광원 산업화에 필요한 관건기술을 확보했고, 세계 선진수준인 ‘농작물정량 제어 관개기술’로 관개수를 20~30% 절약할 수 있게 됐다.

◇ 중국은 중대한 질병 예방퇴치, 약물과 의료설비 혁신, 의학소재 연구개발 및 식품안전, 생산안전 등 국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에서 모두 큰 성과를 거뒀다. 이에 따라 사스 백신, 조류독감 유전자 공정 등 분야에서도 중요한 진전이 나타났으며, 생태환경 건설, 도시 대기오염 제어 등 시법공정의 실시를 통해 수체(水體), 대기 등 환경질량이 크게 개선됐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