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과학기술혁신 취약점 ‘낮은 핵심 기술 자급 비율’, ‘높은 대외 기술의존도’, ‘선진국 및 신흥 공업국가 대비 과학기술 수준 격차 존재’ 지적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1-17
- 등록일 2006-01-19
- 권호
현재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능력 수준은 전 세계 49개 주요 나라 중에서 28위를 차지하여 중등 수준에서 하등 수준 사이에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과학기술은 최근 신속히 발전하였지만, 과학기술 혁신 면에서 자체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중국 과학기술 혁신의 취약점은 주로 핵심 기술 자급 비율이 낮고, 대외 기술 의존도가 높으며, 전체적인 과학기술 수준이 주요 선진국과 신흥 공업화 국가에 비해 아직도 큰 격차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타난다. 중국 과학기술 혁신의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첫째, 중국의 혁신 인재 육성 환경뿐만 아니라 과학연구원들의 혁신 의식이 취약하다. 중국의 저명한 과학자인 전학삼(錢學森, Qian Xueshen) 원사(院士)는 “현재 중국에는 과학기술 발명 창조에 유능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진정한 교육 환경을 갖춘 대학이 존재하지 못하고 있어 혁신형 인재 육성, 배출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중국의 과학연구원들의 과학기술 연구에서의 혁신 의식이 취약하여 과학기술 연구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적인 혁신 연구를 실행하는 과학연구원들이 너무나 적은 것이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고 전학삼 원사는 지적하고 있다.
둘째, 중국의 부분적인 과학연구원들은 자신감이 부족하여 혁신력이 떨어지고 있다. 하루하루 더욱 신속히 발전하고 있는 세계 과학기술 추세 앞에서 중국의 부분적인 과학연구원들의 자신감은 부족하고 혁신력도 떨어지고 있다. 세계 저명한 수학자인 진성신(陳省身, Chen Xingsen) 대사(大師)는 생전에 “중국 과학연구원들은 외국 과학자들에 비해 수준이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런 생각 자체를 빨리 버려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중국 중남(中南)대학 황백운(黃伯云, Huang Baiyun) 원사도 “모든 과학연구에서 세계 제1의 연구 성과를 달성하겠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연구에 임해야 원천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중국의 과학연구원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혁신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셋째, 중국의 과학연구원들은 과학연구 실패에 대해 공포감을 가지고 있어 혁신적인 연구를 기피하는 심리가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세계 벼 연구의 대부(大父)’라는 명예를 지닌 원융평(袁隆平, Yuan Longping) 원사는 “과학연구를 실행함에 있어서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아야 한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연구를 추진할 수 없게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중국의 과학연구계는 장기간 ‘성공해야 만이 영웅이 된다’는 분위기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과학연구원들은 장기간 큰 부담 속에서 과학연구에 임해야 하였다. 중국은 우주항공 분야 연구개발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연구과 혁신에 도전해야 하며 실패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너그럽게 대해야 한다는 새로운 연구 풍토를 형성하는 면에서 중대한 역할을 발휘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연구기관과 과학연구원들은 아직도 과학연구에서 실패하는 것에 대해 큰 부담으로 생각하고 과감히 새로운 혁신과 과학의 최고봉에 도전하려는 의구심이 취약한 상태에 있다. 이런 상황은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강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넷째, 한 개 나라가 지식 사회에 진입하였는가 하는 기준은 그 나라의 경제 규모가 얼마나 큰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가 사회 각 분야에서 독자적인 혁신 체계를 구축하고 혁신에 유리한 문화를 형성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현재 중국 정부가 독자적인 혁신을 중점 추진하고 있는 원인도 중국의 전 사회적인 혁신 의식을 강화하고 혁신을 격려하고 혁신에 적극 참여하고 과감히 혁신하는 양호한 환경과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혁신 문화가 과학연구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발전 각 분야에서 정신적인 핵심과 행동의 원동력으로 되어야 한다. 하지만 중국의 산업계, 기업체들의 혁신 의식은 매우 취약하며 특히 기업체가 핵심이 된 혁신적인 연구 개발 체계가 완벽히 형성되지 못하여 중국의 과학기술 연구 개발 혁신력 강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이다.
첫째, 중국의 혁신 인재 육성 환경뿐만 아니라 과학연구원들의 혁신 의식이 취약하다. 중국의 저명한 과학자인 전학삼(錢學森, Qian Xueshen) 원사(院士)는 “현재 중국에는 과학기술 발명 창조에 유능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진정한 교육 환경을 갖춘 대학이 존재하지 못하고 있어 혁신형 인재 육성, 배출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중국의 과학연구원들의 과학기술 연구에서의 혁신 의식이 취약하여 과학기술 연구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적인 혁신 연구를 실행하는 과학연구원들이 너무나 적은 것이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고 전학삼 원사는 지적하고 있다.
둘째, 중국의 부분적인 과학연구원들은 자신감이 부족하여 혁신력이 떨어지고 있다. 하루하루 더욱 신속히 발전하고 있는 세계 과학기술 추세 앞에서 중국의 부분적인 과학연구원들의 자신감은 부족하고 혁신력도 떨어지고 있다. 세계 저명한 수학자인 진성신(陳省身, Chen Xingsen) 대사(大師)는 생전에 “중국 과학연구원들은 외국 과학자들에 비해 수준이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런 생각 자체를 빨리 버려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중국 중남(中南)대학 황백운(黃伯云, Huang Baiyun) 원사도 “모든 과학연구에서 세계 제1의 연구 성과를 달성하겠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연구에 임해야 원천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중국의 과학연구원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혁신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셋째, 중국의 과학연구원들은 과학연구 실패에 대해 공포감을 가지고 있어 혁신적인 연구를 기피하는 심리가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세계 벼 연구의 대부(大父)’라는 명예를 지닌 원융평(袁隆平, Yuan Longping) 원사는 “과학연구를 실행함에 있어서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아야 한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연구를 추진할 수 없게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중국의 과학연구계는 장기간 ‘성공해야 만이 영웅이 된다’는 분위기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과학연구원들은 장기간 큰 부담 속에서 과학연구에 임해야 하였다. 중국은 우주항공 분야 연구개발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연구과 혁신에 도전해야 하며 실패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너그럽게 대해야 한다는 새로운 연구 풍토를 형성하는 면에서 중대한 역할을 발휘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연구기관과 과학연구원들은 아직도 과학연구에서 실패하는 것에 대해 큰 부담으로 생각하고 과감히 새로운 혁신과 과학의 최고봉에 도전하려는 의구심이 취약한 상태에 있다. 이런 상황은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강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넷째, 한 개 나라가 지식 사회에 진입하였는가 하는 기준은 그 나라의 경제 규모가 얼마나 큰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가 사회 각 분야에서 독자적인 혁신 체계를 구축하고 혁신에 유리한 문화를 형성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현재 중국 정부가 독자적인 혁신을 중점 추진하고 있는 원인도 중국의 전 사회적인 혁신 의식을 강화하고 혁신을 격려하고 혁신에 적극 참여하고 과감히 혁신하는 양호한 환경과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것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혁신 문화가 과학연구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발전 각 분야에서 정신적인 핵심과 행동의 원동력으로 되어야 한다. 하지만 중국의 산업계, 기업체들의 혁신 의식은 매우 취약하며 특히 기업체가 핵심이 된 혁신적인 연구 개발 체계가 완벽히 형성되지 못하여 중국의 과학기술 연구 개발 혁신력 강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