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 과학재단, 나노기술의 사회적 영향 조사 연구활동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유레카얼러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1-23
  • 등록일 2006-01-31
  • 권호
나노기술은 많은 과학자, 미래주의자 및 투자자들에 의해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함께 존재하며 어떻게 과학자, 시민, 정책입안자들이 나노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 적절하게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나노기술을 관리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조사 연구하기 위하여 2005년 가을 NSF은 애리조나 주립대학, Center for Nanotechnology in Society(CNS-ASU)에 6백 2십만 달러의 과제지원금을 지원하였다. 또 NSF는 나노기술과 사회 관련 활동으로 5백만 달러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에 지원하였고 Harvard University와 University of South Carolina에도 추가의 과제지원금을 지원하여 CNS-ASU와 함께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CNS-ASU는 Consortium for Science, Policy and Outcomes(CSPO)와 애리조나 주립대학의 Biodesign Institute와 공동 협력하고 있으며 나노기술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연방정부의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로부터 center for excellence로 지정될 예정이다.

2005년 연방정부의 나노기술 연구개발비는 10억 달러였으며 향후 2015년에는 나노기술 관련 시장이 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나노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은 원자 수준에서 물질을 다루는 나노기술에 대한 규제 및 테크닉에 대해 계속 연구하고 있으며 사회학자와 인류학자들은 이러한 나노기술들이 사회에 어떻게 상호작용할 것인지를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CSN-ASU는 크게 두 가지로 즉 자유, 사생활 및 보안 그리고 인간 정체성, 증진 및 생물학으로 연구테마를 잡고 있다. CSN-ASU는 사회학자와 나노 과학자들이 팀을 이루어 새로운 나노기술이 개발되면 이 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윤리적 측면을 연구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실험할 예정이다.

CSN-ASU의 소장인 David Guston는 센터를 통해 연구원과 시민들은 과학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가 어디에서 나오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가치들이 나노기술이 가야할 방향을 어떻게 정하는지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CNS-ASU는 나노기술 및 공학의 사회적 영향 연구를 나노기술 과학자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공동 협력하고 일반 대중도 참여하여 나노기술 및 공학에 대한 협의와 의사 결정을 개선하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으며 나노기술 및 공학이 가져올 혜택과 난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규제방안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며 지식 생산을 체계화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