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국, 중국과 지적재산권 문제로 긴장 고조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미국
  • 생성기관 후지산케이일보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1-30
  • 등록일 2006-01-31
  • 권호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작년 10월(2005년), 세계무역기구(WTO)의 지적재산권 협정에 근거하여, 중국 정부에게 지적재산권 보호와 침해 행위의 단속 상황에 관한 보고를 1월 23일까지 회답하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기한까지 전혀 회답하지 않아, 미중 경제 관계는 악화될 사태에 이르고 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중국 측은 회답기한 전에 중국 내에서 횡행하고 있는 해적판(DVD, CD 등)을 단속하지 않았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 대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해적판 DVD 등으로, 미국 영화산업계는 수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

이번 분쟁으로 부시 정부의 대항조치로서 중국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 등의 실시를 요구하는 압력이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WTO의 틀에서 지적재산권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중국 측이 “묵살”에 가까운 태도를 취하여 올 4월에 예정되어 있는 후진타오 주석의 방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에서는 미국 영화의 DVD 불법 복사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동차 부품의 모조품, 복제품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것이 밥먹듯 하여 미국 경제계는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거액의 대중무역적자 및 통상마찰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작년 12월 북경에서 열린 미중 수뇌회담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의제로 다뤄졌는데, 후진타오 주석도 어느 정도 노력하는 자세를 보였다.

북경에 진출한 미국 기업으로 구성된 미국 상공회의소의 부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는 제임스 짐멜맨는 “중요한 것은 중국 측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쌍방의 긴장을 높이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작년 가을 미국 통상대표부는 중국 정부에 지적재산권의 침해행위에 관하여 단속 상황 및 사법판단의 결과, 처분의 구체적 내용 등의 정보를 개시하도록 요청했다.

중국은 2001년 12월 WTO 가입 시 지적재산권의 침해행위에 대한 단속을 약속했으나, 구체적인 회답의 기한인 1월까지 제출하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 정부 관계자의 말로서 “중국 측에서 실체를 동반한 회답이 없으면, WTO에 중국을 불공정 무역국으로 정식으로 제소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중국 상무성 관계자는 WTO의 약속은 가맹국에 정보의 제공요청을 할 수 있어도, 기한을 붙여 회답할 의무는 없다는 인식을 보여 사실상 미국에 대한 무회답을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내에서는 최근 지적재산권에 관한 단속이 강화되고 있으며, 불법복사제품의 적발, 압수가 반복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지난달에는 상하이 재판소가 미국 커피전문점 체인 스타벅스의 중국어 상표에 유사한 상표를 위법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복제, 모조품이 당연한 상풍토가 하루 아침에 개선되는 것은 어려워서 지적재산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분쟁은 향후에도 계속 될 것이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