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또다시 연기된 일본의 재해 감시 위성 발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1-23
- 등록일 2006-02-01
- 권호
JAXA(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는 올해 최초의 우주 발사를 또 다시 연기했다. JAXA의 발표에따르면, 일본의 핵심 로켓인 H-IIA 로켓을 이용하여 발사될 예정이었던 주요 재해 감시 위성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일시적으로 지상 계류되었다.
JAXA는 로켓 내부의 인공위성용 페어링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JAXA 대변인은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기능했지만,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켓 내부 페어링의 온도가 너무 높다는 경고 신호를 보내왔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는 온도가 정상이었다고 덧붙였다.
JAXA 대변인은 경고 신호의 발생 원인을 아직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내부 페어링의 온도를 수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화요일 발사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로켓은 지도 작성, 재해 손상 모니터링, 천연자원의 조사 등에 사용될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을 탑재하고 있다. 원래 2005년 9월로 발사될 예정이었던 이 위성의 경우 발사는 이번 연기까지 총 3차례 연기되었다.
지난 2005년 2월 일본은 기상예보 위성을 궤도상으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기상위성 발사 성공은 2003년 11월 북한을 감시하기 위한 스파이 위성을 탑재한 로켓의 발사 실패 이후 일본 최초의 위성발사 시도였다.
2005년 7월 일본은 중형 M-5 로켓을 이용하여, 블랙홀과 같은 고에너지 천문학적 현상을 탐사하기 위한 위성을 발사했었다.
JAXA는 로켓 내부의 인공위성용 페어링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JAXA 대변인은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기능했지만,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켓 내부 페어링의 온도가 너무 높다는 경고 신호를 보내왔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는 온도가 정상이었다고 덧붙였다.
JAXA 대변인은 경고 신호의 발생 원인을 아직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내부 페어링의 온도를 수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화요일 발사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로켓은 지도 작성, 재해 손상 모니터링, 천연자원의 조사 등에 사용될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을 탑재하고 있다. 원래 2005년 9월로 발사될 예정이었던 이 위성의 경우 발사는 이번 연기까지 총 3차례 연기되었다.
지난 2005년 2월 일본은 기상예보 위성을 궤도상으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기상위성 발사 성공은 2003년 11월 북한을 감시하기 위한 스파이 위성을 탑재한 로켓의 발사 실패 이후 일본 최초의 위성발사 시도였다.
2005년 7월 일본은 중형 M-5 로켓을 이용하여, 블랙홀과 같은 고에너지 천문학적 현상을 탐사하기 위한 위성을 발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