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국의 혁신 엔진, 국가연구소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미국과학진흥협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1-18
- 등록일 2006-02-02
- 권호
Washington Science Policy Alliance는 아르곤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 소장인 Robert Rosner를 초빙하여 1월 10일 “현재 국가연구소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강연을 개최하였다. 이 강연에서 러스너 소장은 과학 이노베이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소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University of Chicago의 우주물리학 교수이며 2002년 이후 아르곤 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연구를 한 러스너 박사는 과학, 기술 이노베이션으로 인한 경제 발전을 종종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만 20세기 미국의 GDP 성장의 50%는 과학기술 발전으로 이룩한 것이며 경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냉전시대의 대표적인 맨해튼 프로젝트와 같은 군사적 연구가 국가연구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매우 낮으며 에너지 소비와 효율 같은 국가적·경제적 필요성에 연구 중점을 두고 있다. 아르곤 연구소는 탄생 6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3천 명의 직원과 시카고 남쪽에 1,500에이커의 캠퍼스를 차지하고 있다. 아르곤 연구소의 많은 프로그램은 환경 친화적 차량, 새로운 에너지기술, 원자 차원의 기초 연구를 통한 산업 재료 향상, 고속 연산 시뮬레이션, 그리고 제약업체와 공동 협력하여 질병 예방을 분자 차원에서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러스너 박사는 학계와 일반 기업과 달리 국가연구소가 자유로운 과학적 흥미를 장려하고 5년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같이 실시할 수 있으며 연구 환경에 맞추어 신속하게 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강조하였다. 벨연구소를 예를 들면서 AT&T가 독점적 위치를 가지고 있어 벨연구소가 회사 재정과 관계없이 연구를 할 수 있을 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무수한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낳을 수 있었으며 현재 많은 기업 연구소가 사라지고 장기적인 연구는 국가가 지원하는 연구소에서 수행되고 있다고 러스너 박사는 덧붙였다.
그는 국가연구소가 기존의 벨연구소가 학계와 기업들과 경쟁하였던 것과 달리 학계, 기업체와 공동 협력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기업체는 고위험, 고비용이 요구되지만 단기간에 이득이 되기 어려운 연구 프로젝트를 기피하고 학계는 논문 발표 중심의 방식, 2~3년의 연구기간으로 기초 연구가 때때로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 국가연구소가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독창적인 연구 설비가 필요하며 세계적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소, 학계 그리고 기업체간의 강력하고 적극적인 공동협력이 중요하다고 러스너 박사는 강조하였다.
University of Chicago의 우주물리학 교수이며 2002년 이후 아르곤 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연구를 한 러스너 박사는 과학, 기술 이노베이션으로 인한 경제 발전을 종종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만 20세기 미국의 GDP 성장의 50%는 과학기술 발전으로 이룩한 것이며 경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냉전시대의 대표적인 맨해튼 프로젝트와 같은 군사적 연구가 국가연구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매우 낮으며 에너지 소비와 효율 같은 국가적·경제적 필요성에 연구 중점을 두고 있다. 아르곤 연구소는 탄생 6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3천 명의 직원과 시카고 남쪽에 1,500에이커의 캠퍼스를 차지하고 있다. 아르곤 연구소의 많은 프로그램은 환경 친화적 차량, 새로운 에너지기술, 원자 차원의 기초 연구를 통한 산업 재료 향상, 고속 연산 시뮬레이션, 그리고 제약업체와 공동 협력하여 질병 예방을 분자 차원에서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러스너 박사는 학계와 일반 기업과 달리 국가연구소가 자유로운 과학적 흥미를 장려하고 5년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같이 실시할 수 있으며 연구 환경에 맞추어 신속하게 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강조하였다. 벨연구소를 예를 들면서 AT&T가 독점적 위치를 가지고 있어 벨연구소가 회사 재정과 관계없이 연구를 할 수 있을 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무수한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낳을 수 있었으며 현재 많은 기업 연구소가 사라지고 장기적인 연구는 국가가 지원하는 연구소에서 수행되고 있다고 러스너 박사는 덧붙였다.
그는 국가연구소가 기존의 벨연구소가 학계와 기업들과 경쟁하였던 것과 달리 학계, 기업체와 공동 협력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기업체는 고위험, 고비용이 요구되지만 단기간에 이득이 되기 어려운 연구 프로젝트를 기피하고 학계는 논문 발표 중심의 방식, 2~3년의 연구기간으로 기초 연구가 때때로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 국가연구소가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독창적인 연구 설비가 필요하며 세계적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소, 학계 그리고 기업체간의 강력하고 적극적인 공동협력이 중요하다고 러스너 박사는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