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스웨덴의 IT 정책과 IT 혁신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2-22
- 등록일 2006-02-23
- 권호
스웨덴 정부는 2005년 9월에 「사회를 위한 IT(정보기술) 정책에서, IT 사회를 위한 정책으로」라고 이름을 붙인 「IT 법안」(prop.2004/05:175)을 제출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IT 사용을 촉진하고 있다.
동 법안은, 대강령의 목표로서 「스웨덴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지속 가능한 정보화 사회가 되는 것」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서 1)국민과 기업을 위한 일상생활에 있어서, 정부나 공적 기관의 IT에 준거한 서비스를 충실히 한다는「질의 향상」, 2)「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는 IT, 3)국민의 「효율적인 액세스와 안전」을 보장하는 IT를 위한 인프라 정비, 라는 3개를 내걸고 있다.
이들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는 1) 국민의 IT에 대한 신뢰를 증진 시킬 것, 2) 정보사회의 발전을 위한 관련 부문의 정책의 통합, 등 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의료·개호 분야에서의 IT 활용의 촉진이 최우선 목표가 되고 있다.
한편 의료·개호 분야에서의 IT 활용에 있어서는 금년에 설립 20주년을 맞이한 스웨덴 혁신재단(SKAPA)에서 주최하는 「혁신 대상」뿐만 아니라, 스웨덴 최대 노동조합인 노동 총동맹(LO) 주최의 「소비자 대상」에서도 이 분야의 최근 수상 대상이 증가하고 있다.
「혁신 대상」에서의 예를 들면 첫째는 우승상 수상인 Comai사로서, 이것은 특히 고령자가 약을 올바르게 마셨는지를 스스로, 혹은 개호자가 휴대전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다른 하나는 Phoniro사로서, 이것은 home helper가 많은 집을 돌 때 방문하는 각각 집의 열쇠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도록, 휴대전화로 열쇠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는 모두 고령자 개호에 실제로 종사하는 사람만이 가능한 아이디어에 근거한 혁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고령화가 진행되는 일본에서도 주목받을 수 있는 IT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동 법안은, 대강령의 목표로서 「스웨덴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지속 가능한 정보화 사회가 되는 것」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서 1)국민과 기업을 위한 일상생활에 있어서, 정부나 공적 기관의 IT에 준거한 서비스를 충실히 한다는「질의 향상」, 2)「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는 IT, 3)국민의 「효율적인 액세스와 안전」을 보장하는 IT를 위한 인프라 정비, 라는 3개를 내걸고 있다.
이들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는 1) 국민의 IT에 대한 신뢰를 증진 시킬 것, 2) 정보사회의 발전을 위한 관련 부문의 정책의 통합, 등 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의료·개호 분야에서의 IT 활용의 촉진이 최우선 목표가 되고 있다.
한편 의료·개호 분야에서의 IT 활용에 있어서는 금년에 설립 20주년을 맞이한 스웨덴 혁신재단(SKAPA)에서 주최하는 「혁신 대상」뿐만 아니라, 스웨덴 최대 노동조합인 노동 총동맹(LO) 주최의 「소비자 대상」에서도 이 분야의 최근 수상 대상이 증가하고 있다.
「혁신 대상」에서의 예를 들면 첫째는 우승상 수상인 Comai사로서, 이것은 특히 고령자가 약을 올바르게 마셨는지를 스스로, 혹은 개호자가 휴대전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다른 하나는 Phoniro사로서, 이것은 home helper가 많은 집을 돌 때 방문하는 각각 집의 열쇠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도록, 휴대전화로 열쇠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는 모두 고령자 개호에 실제로 종사하는 사람만이 가능한 아이디어에 근거한 혁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고령화가 진행되는 일본에서도 주목받을 수 있는 IT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