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독일, 정보통신기술관련 제품 및 서비스 증가세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Statistisches Bundesamt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2-22
  • 등록일 2006-03-03
  • 권호
독일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6.8%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독일 연방통계청(Statistisches Bundesamt)이 발표한 <2005년 기업과 가정내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stechnologie in Unternehmen und Haushalten 2005)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 관련 제품 및 서비스는 지난 1995년 전체 GDP의 4.7%에서 2004년 6.8%로 증가했다. 10년 간 약 2% 포인트 정도가 증가한 셈이다.

독일 사회의 정보화 진척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2003년 처음으로 1995년 이래의 정보통신기술 보급 추이를 집계한 이후 올해 4번째를 맞이한 연방통계청의 정보사회 통계는 이번에 전체 국민계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차지하는 비중도 함께 집계했다.

정보통신 관련 재화 및 서비스 생산액은 1995년 610억 유로에서 2004년 870억 유로로 증가해 약 42%의 증가율을 보였다. 같은 기간 독일의 GDP가 약 20% 증가한 것에 비하면 2배 가량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이다. 또 2004년 약 830억 유로로 10년 전에 비해 오히려 27%가 감소한 건설업의 경우와 비교하면 독일에서도 정보통신기술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전반적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세계적인 정보화 진전에 따라 대외무역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차지하는 비중도 현저히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보통신 관련 재화 및 서비스의 교역량은 1995년보다 2배 이상을 늘어났으며, 2004년 독일 총수출의 12%, 수입의 13%를 차지했다.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은 기업과 가정 내 정보통신기술 활용 추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02년부터 유럽연합(EU)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표본설문조사 지침에 따라 연방통계청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6~74세의 독일 국민 가운데 2005년 주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한 국민은 모두 54%로 EU 15개 회원국의 평균 46%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는 독일 국민의 44%, EU 15개 회원국 평균이 38%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독일이 다른 EU 회원국들에 비해 인터넷 이용도 증가세도 다소 앞선 것이다.

한편, 종업원 10인 이상 기업의 인터넷 보급률도 2005년 독일이 94%로 EU 평균 92%을 다소 상회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 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웨덴으로, 기업과 가정내 보급률이 각각 96%와 76%로 조사됐다. 또 독일 가정 내 인터넷 보급률은 2004년 60%, 2005년 62%로 아직 증가 여지가 많지만 기업의 경우 일단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독일이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활발한 것으로 드러났다. 16~74세 독일 국민의 32%가 2005년 1/4분기에 최소 1회 이상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구매하여 EU 평균 20%를 훨씬 앞질렀다. 종업원 10인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독일 기업들이 같은 기간 54%를 기록한 데 비해 EU 평균은 39%에 머물렀다. 2005년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문해 본 기업은 독일 전체 기업의 41%였고 이 가운데 54%는 온라인으로 직접 결제했다. 또 인터넷을 설치한 독일기업 중 2005년 온라인 뱅킹을 이용한 기업은 74%에 이르렀으며, 78%는 자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컴퓨터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84%였다. 전자정부와 관련해 인터넷을 보유한 독일기업의 38%가 온라인 행정처리를 이용해 2003년에 비해 7%의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10세 이상 인구 중 61%가 2005년 1/4분기 동안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해 2002년 46%보다 크게 증가했으며, 거의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율도 50%에 이르렀다. 이들 중 약 75%는 컴퓨터 교육과정을 거치지 않고 주변사람에게 배우거나 Learning-by-Doing으로 활용법을 익히고 있었다. 다만 54세 이상에서는 교육과정 이수율이 27%로 조사됐다.

* techtrend 자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