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에 의한 바이오 벤처 인재육성지원 보고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산학관연계저널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3-14
- 등록일 2006-03-17
- 권호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에 의한 바이오 벤처 인재 지원
1. 배경
일본 관서지방(關西地方)에는 바이오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기관 및 연구원들이 많이 있으며, 제약 및 의료산업 업체들이 많이 모여 있다. Osaka상공회의소에서는 세계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바이오 벤처 지원 등 25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바이오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벤처의 역할이 크다. Osaka에서는 2000년부터 “바이오비즈니스회의Japan"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수한 기술이 축적되었으나 경영 인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지방의 산학관 협동으로 NPO법인 바이오 비즈니스 스테이션을 설립하고, 사무국을 Osaka상공회의소 내에 설치하였다. 이 법인의 주요 사업의 하나가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이다.
2. 인재 육성,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
교과과정을 바이오 비즈니스 기초, 경영학 기초, 바이오 벤처 매니즈먼트 등으로 구성하였다. 각 과목마다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제1기부터 제4기까지 131명이 수료하였으며, 수강료 납부형식은 개인의 경우 자비, 회사원의 경우 회사부담으로 되어있다. 졸업생들은 졸업생교류회를 운영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앞으로 바이오 비즈니스 분야는 더욱 발전할 것이므로 인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바이오 분야에서 인재교육 등 사람을 주체로 한 지원사업은 적었다.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은 바이오 비즈니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결언
앞으로도 이 네트워크가 확대되고 계속되기를 바라며, 이 지방의 바이오산업 진흥을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1. 배경
일본 관서지방(關西地方)에는 바이오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기관 및 연구원들이 많이 있으며, 제약 및 의료산업 업체들이 많이 모여 있다. Osaka상공회의소에서는 세계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바이오 벤처 지원 등 25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바이오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벤처의 역할이 크다. Osaka에서는 2000년부터 “바이오비즈니스회의Japan"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수한 기술이 축적되었으나 경영 인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지방의 산학관 협동으로 NPO법인 바이오 비즈니스 스테이션을 설립하고, 사무국을 Osaka상공회의소 내에 설치하였다. 이 법인의 주요 사업의 하나가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이다.
2. 인재 육성,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
교과과정을 바이오 비즈니스 기초, 경영학 기초, 바이오 벤처 매니즈먼트 등으로 구성하였다. 각 과목마다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제1기부터 제4기까지 131명이 수료하였으며, 수강료 납부형식은 개인의 경우 자비, 회사원의 경우 회사부담으로 되어있다. 졸업생들은 졸업생교류회를 운영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앞으로 바이오 비즈니스 분야는 더욱 발전할 것이므로 인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바이오 분야에서 인재교육 등 사람을 주체로 한 지원사업은 적었다. 바이오 비즈니스 스쿨은 바이오 비즈니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결언
앞으로도 이 네트워크가 확대되고 계속되기를 바라며, 이 지방의 바이오산업 진흥을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