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 항공우주국의 과학 현황과 계획 (과학우주비행 부서장인 메리 클리브 박사의 약식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미 항공우주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3-13
- 등록일 2006-03-20
- 권호
이번 클리브 박사의 메모형식의 보고서는 미 항공우주국내의 과학우주비행국 (Science Mission Directorate, SMD)의 활동 계획 및 조직 개편을 보고한다.
조직: 과학우주비행국은 지구우주과학국과의 합병이 후 현재 4개의 과학부 – 지구과학 (Earth Science), 태양물리학 (Heliophysics), 행성과학 (Planetary Science), 및 천체물리학 (Astrophysics) – 와 1개의 관리정책부로 구성되어있다.
과학자문과 중요우선도: 과학우주비행국 (SMD)은 과거에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던 과학 자문을 위한 과학계와의 상호 교류의 형태를 재수립 하고 있다. 과학 중요도에 대한 자문을 여러 분야의 학술원 (National Academies) 에서 구할것이며, 실현계획에 대한 자문을 미 항공우주국의 자문평의회 (NASA Advisory Council, NAC) 산하에서 활동하는 자문위원회 (advisory committee) 들로 부터 얻으려 한다. 항공우주국의 자문평의회는 5인으로 구성된 과학위원회 (Science Committee)를 포함한 5개의 위원회로 구성된다. 이 과학위원회는 과학우주비행국 내의 4개 과학부에 대응하는 4개 소위원회와 행성보호 소위원회 등 5개의 소위원회로 구성된다. 과학 소위원회 명단 및 관련 정보는 http://science.hq.nasa.gov/ 에서 볼수 있다.
전략계획: 과학우주비행국은 매 3년 마다의 전략계획수립 주기를 유지하고자 한다. 금년을 정상궤도에 오르기 위한 해로 사용하고자 하며 새로운 전략계획서가 현재 확정되어 있다 (http://www.nasa.gov/about/budget/ 참조). 이 전략계획서는 우주탐험에 대한 비젼 (Vision for Space Exploration – http://www.nasa.gov/mission_pages/exploration/main/ 참조) 이 발표된 이후의 첫 전략계획서이기 때문에 인간의 우주탐험에 대한 미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긴 하지만 미 항공우주국 전체의 프로그램이 담겨있다.
인간우주탐험에서의 역할: 미 항공우주국 전략계획의 핵심은 저지구궤도 (low Earth orbit) 를 넘어선 우주 저편에 대한 인간의 탐험이다. 이에 대한 과학우주비행국의 책임은 탐험시스템국 (Exploration Systems Mission Directorate, ESMD)과의 협력하에 미항공우주국이 자체 설정한 중요우선도와 미국의 전체적인 과학에 있어서의 중요우선도에 부합하는 선상에서, 인간의 우주탐험을 가능케 하는 과학 및 인간의 우주탐험으로 인해 가능해지는 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것이다.
2007년 회계년도 예산: (원문 참조 – 다른 요약 보고서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요약기술 생략함)
조직: 과학우주비행국은 지구우주과학국과의 합병이 후 현재 4개의 과학부 – 지구과학 (Earth Science), 태양물리학 (Heliophysics), 행성과학 (Planetary Science), 및 천체물리학 (Astrophysics) – 와 1개의 관리정책부로 구성되어있다.
과학자문과 중요우선도: 과학우주비행국 (SMD)은 과거에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던 과학 자문을 위한 과학계와의 상호 교류의 형태를 재수립 하고 있다. 과학 중요도에 대한 자문을 여러 분야의 학술원 (National Academies) 에서 구할것이며, 실현계획에 대한 자문을 미 항공우주국의 자문평의회 (NASA Advisory Council, NAC) 산하에서 활동하는 자문위원회 (advisory committee) 들로 부터 얻으려 한다. 항공우주국의 자문평의회는 5인으로 구성된 과학위원회 (Science Committee)를 포함한 5개의 위원회로 구성된다. 이 과학위원회는 과학우주비행국 내의 4개 과학부에 대응하는 4개 소위원회와 행성보호 소위원회 등 5개의 소위원회로 구성된다. 과학 소위원회 명단 및 관련 정보는 http://science.hq.nasa.gov/ 에서 볼수 있다.
전략계획: 과학우주비행국은 매 3년 마다의 전략계획수립 주기를 유지하고자 한다. 금년을 정상궤도에 오르기 위한 해로 사용하고자 하며 새로운 전략계획서가 현재 확정되어 있다 (http://www.nasa.gov/about/budget/ 참조). 이 전략계획서는 우주탐험에 대한 비젼 (Vision for Space Exploration – http://www.nasa.gov/mission_pages/exploration/main/ 참조) 이 발표된 이후의 첫 전략계획서이기 때문에 인간의 우주탐험에 대한 미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긴 하지만 미 항공우주국 전체의 프로그램이 담겨있다.
인간우주탐험에서의 역할: 미 항공우주국 전략계획의 핵심은 저지구궤도 (low Earth orbit) 를 넘어선 우주 저편에 대한 인간의 탐험이다. 이에 대한 과학우주비행국의 책임은 탐험시스템국 (Exploration Systems Mission Directorate, ESMD)과의 협력하에 미항공우주국이 자체 설정한 중요우선도와 미국의 전체적인 과학에 있어서의 중요우선도에 부합하는 선상에서, 인간의 우주탐험을 가능케 하는 과학 및 인간의 우주탐험으로 인해 가능해지는 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것이다.
2007년 회계년도 예산: (원문 참조 – 다른 요약 보고서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요약기술 생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