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 보건후생부의 정보기술 이용을 위한 전략수립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회계감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3-15
- 등록일 2006-03-24
- 권호
정보기술은 후생제도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수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며, 실제로 미국 건강보험제도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아주 중요하다. 후생산업에 대한 연방정부의 영향력을 고려하면, 정부가 의료 보험제의 질과 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정보기술의 채택을 포함한 여러 방법을 도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2004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상호 호환성을 갖춘 전자건강기록 (electronic health records) 이 10년안에 널리 채택 될수 있도록 지시하고, 보건후생부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HHS) 내에 건강정보기술총괄처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T) 을 신설하였다. 이 새 부서의 책임자는 2004년 5월에 임명되었으며 두달후 전략적 활동을 위한 골격을 내놓았다.
보건후생부는 그 후로 국가 건강정보기술 전략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는 데, 예를 들면, 건강정보기술총괄처의 조직적 구조를 확립하였으며 건강정보기술의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계약과제에 4천2백만 달러를 지출하였다. 이 계약들은 정보기술의 채택을 장려하는 데 있어서의 여러 중요한 문제점들 - 예를 들면, 표준화 작업에서의 결함이나 중복등 – 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원문 표 참조). 보건후생부는 또한 건강기록의 전산화와 정보교환의 호환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미국건강정보단체 (American Health Information Community)를 설립하였다. 보건후생부는 이들 결과를 앞으로의 진행 방향을 설정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보건후생부 내의 다른 부서들 또한 전략적 활동을 위한 골격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강정보기술의 선도과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금 지원을 계속해왔다. 건강정보기술총괄처장에 따르면, 상세한 계획과 이정표를 포함한 전략계획이 금년 후반기에 발표될 예정이다.
재향군인부 (Departments of Veterans Affairs), 국방부, 상무부, 및 인사 관리처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등 여러 연방정부 부서가 보건후생부와 협력하며, 각 부처는 국가건강정보기술에 관계된 나름대로의 건강정보기술에 대한 임무가 있다.
보건후생부는 그 후로 국가 건강정보기술 전략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는 데, 예를 들면, 건강정보기술총괄처의 조직적 구조를 확립하였으며 건강정보기술의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계약과제에 4천2백만 달러를 지출하였다. 이 계약들은 정보기술의 채택을 장려하는 데 있어서의 여러 중요한 문제점들 - 예를 들면, 표준화 작업에서의 결함이나 중복등 – 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원문 표 참조). 보건후생부는 또한 건강기록의 전산화와 정보교환의 호환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미국건강정보단체 (American Health Information Community)를 설립하였다. 보건후생부는 이들 결과를 앞으로의 진행 방향을 설정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보건후생부 내의 다른 부서들 또한 전략적 활동을 위한 골격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강정보기술의 선도과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금 지원을 계속해왔다. 건강정보기술총괄처장에 따르면, 상세한 계획과 이정표를 포함한 전략계획이 금년 후반기에 발표될 예정이다.
재향군인부 (Departments of Veterans Affairs), 국방부, 상무부, 및 인사 관리처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등 여러 연방정부 부서가 보건후생부와 협력하며, 각 부처는 국가건강정보기술에 관계된 나름대로의 건강정보기술에 대한 임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