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일본, 관민합동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원자력 도입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전기신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3-17
  • 등록일 2006-03-24
  • 권호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은 원자력발전을 새롭게 도입하고자 계획하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대상으로 관민합동사절단을 파견한다.

일본은 정부와 산업계가 하나가 되어 원자력발전 도입계획의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는 자세를 전했다. 에너지청은 원자력발전을 도입하는 아시아에 대해 안전규제체제의 정비지원도 실시할 방침이며, 상대국의 구체적인 요망 및 과제 등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지금까지 양국에 대해서는 산업계의 추진이 중심이었지만, 향후에는 정부도 적극 관여함으로써 상대국의 이해를 구해나갈 계획이다. 관민합동 사절단은 3월 19일부터 25일까지 파견될 예정이다.

사절단은 19~22일에는 인도네시아의 광산에너지성 및 원자력청, 원자력규제청, 국영전력회사와, 22~25일에는 베트남의 공업성, 과학기술성, 원자력위원회, 전력공사의 각 간부와 회담할 계획이다. 사절단에는 에너지청 관계자 이외에 히타치제작소, 미츠비스 중공업, 도시바 3사와 일본원자력 산업회의, 일본원자력발전 등의 실무자가 참가한다.

회담에서 일본 측은 아시아에서 원자력발전의 도입에 대해 일본 입장을 전하고, 일본 정부와 산업계의 구체적인 지원책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현지의 원자력발전 도입 계획과 검토 상황, 도입을 위한 과제, 일본에 지원을 기대하는 분야 등에 대하여 상대국과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베트남에 대해서는 프랑스 및 한국 등이 관민일체가 되어 지원책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도 정부가 관여하는 형태로 관민합동으로 추진을 본격화한다.

베트남에서는 2017~2020년경에 200만~400만 킬로와트를 도입할 방향으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도 2025년까지 900만~1200만 킬로와트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다만 양국이 실제로 원자력발전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IAEA(국제원자력기관)를 비롯한 핵불확산 체제의 대응 및 원자력 손해배상제도 등 안전확보를 위한 법제상의 제도정비를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에너지청은 이러한 분야에 관련된 일본 내 전문가를 현지에 파견하고, 일본의 지식 및 노하우를 상대국에 제공할 계획이다. 이 지원책은 2006~2010년의 5개년 계획으로 실시되며, 2006년도 예산은 5500만 엔을 확보하고 있다.

에너지청은 관민합동사절단 및 법제도의 지원책을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위탁한다. 이와 같은 추진으로 에너지청은 아시아에서 원자력발전의 평화, 안전 이용 및 일본 기업의 수주로 연결해 나간다
* techtrend 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