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일본 종합과학기술회의,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06-’10년) 분야별 추진전략을 결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3-22
- 등록일 2006-03-27
- 권호
2006년3월 22일, 일본 총리대신 관저에서 종합 과학기술회의 제53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당 회의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5개년 간에, 일본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할 제3기 과학기술 기본계획이 승인되고, 생명과학, 정보 통신, 환경, 나노테크놀로지·재료의 4개 중점추진분야를 포함한 8개 분야의 분야별 추진 전략이 결정되었다. 기본계획에서는, 사회·국민에게의 성과의 환원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과학기술 투자, 과학의 발전과 끊임없는 개혁(innovation)의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시스템의 개혁 등을 제시하고 있다. 분야별 추진 전략에서는, 과제별로 연구 개발 목표 및 성과 목표를 명기함과 동시에, 향후 5년간 정부가 집중 투자해야 할 62개 과제를 사회·국민의 요구나 국제 경쟁 등의 종합적인 관점에서 선정했다.
분야별 추진 전략 주요 목차
서론
제3기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정책 목표의 체계
Ⅰ 생명과학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Ⅱ 정보 통신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Ⅲ 환경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Ⅳ 나노테크놀로지·재료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Ⅴ 에너지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Ⅵ 제조 기술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Ⅶ 사회 기반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Ⅷ 프런티어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분야별 추진 전략 주요 목차
서론
제3기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정책 목표의 체계
Ⅰ 생명과학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Ⅱ 정보 통신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Ⅲ 환경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Ⅳ 나노테크놀로지·재료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Ⅴ 에너지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Ⅵ 제조 기술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Ⅶ 사회 기반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
Ⅷ 프런티어 분야
1.상황 인식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4.추진 방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