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대규모 상업화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시나닷컴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3-29
  • 등록일 2006-03-31
  • 권호
3월28일 소식에 의하면, 중국내 주요 운영업체들은 소프트 스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NGN 솔루션방안의 성숙성과 상용성을 접수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 NGN 시장은 이미 대규모 상업화 배치의 전환점에 진입하였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중국 NGN시장에 하나의 완정한 산업가치체인이 형성되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신식산업부 전자통신연구원 통신표준소 소장 류둬는 28일 열린 전세계 NGN포럼에서 "운영업체에게는 미래의 모바일네트워크와 고정 전화망의 융합과 관련되기에 NGN과 3G는 모두 절실하다."고 표명하였다.

중국의 각 운영업체들은 모두 각자 NGN상용화 과정의 배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제조업체를 지도하여 여러 차례의 개방된 인터넷쌍방향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전체 NGN산업의 대규모 상용화 배치를 향해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텔레콤,넷콤,모바일,유니콤 4대 운영업체는 모두 회의에서 NGN상용화 진전의 진척을 반포하였다.
1. 차이나텔레콤은 2000년7월부터 NGN테스트 공정을 시동한 이래 진전이 순조롭고, 현재 NGN기술의 성숙을 인정하여 단계별로 NGN의 보급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2. 차이나넷콤은 비록 늦게 개입하였지만 2005년10월부터 시동한 넷콤 장거리 핵심 상용화 테스트망은 현재 중국 시장에서 제일 큰 NGN네트워크이다.
3. 차이나모바일은 3G건설을 주목하는 동시에 모바일 핵심망에서 NGN으로의 진보를 고려하고 있다.
4. NGN계획에 대해 차이나유니콤의 확정한 최종 방안은 하나의 “통인된 네트워크 플랫폼”을 건설하는 것인데, 바로 1개의 인터넷에서 1개의 사용자 온라인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업무를 제공하며, 음성, 데이터, 인터넷, 비디오, 개인 화상전화 업무 등을 포함한다.

NGN개념이 탄생한 이래 줄곧 전통 전자통신의 변혁에 영향을 주고 변화를 주었다. 중국 운영업체들은 NGN을 업무전환 형식의 추진력으로 삼고, 통신기업의 NGN 연구개발 투입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전면적으로 전자통신 전체 네트워크의 NGN 발전으로 향한 태세를 전개하였다.

수년의 발전을 거쳐 중국 NGN시장은 하나의 완정한 산업가치체인을 형성하였고, NGN상용의 주요 참가자는 운영업체, 테스트 계량기 제공업체, 부가가치 증가 서비스 제공업체 등이 포함된다.

사이디(CCID) 컨설팅의 통계수치에 따르면, 미래 중국시장의 NGN업무대한 몇가지 수요 중에서 이하오퉁(一号通), IP Centrex, 멀티미디어 화상회의가 Top 3이다. 기타 수요에는 광대역 전화, 소프트웨어 전화, 개인통신 보조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사이디(CCID)의 예측에 따르면, 2006년 중국 NGN시장의 발전규모는 2005년의 26억 위안에서 42억 위안으로 오를 것이며, 2009년에는 100억 위안에 이를 것이며 NGN 전체 사용자 규모는 2005년의 650만명으로부터 1,250만명으로 증가되고, 2009년에는 4,300만 명으로 될 것이라고 한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