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프론티어 분야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내각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3-22
  • 등록일 2006-04-03
  • 권호
[전략 중점 과학기술]

(1) 선택과 집중의 전략 이념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일본은, 우주·해양의 프론티어를 최대한으로 활용해 나라의 기반을 확보하고 일본의 종합적인 안전 보장에 공헌한다는 2개의 전략 이념에 따라, 제3기 기본계획 기간중(2006~2010년)에 중점 투자할 프론티어 분야의 전략 중점 과학기술은 다음의 4개 기술로 국한했다.

(전략 이념1) 우주·해양의 프론티어에 언제라도 자재로 도달할 수 있는 기술 확립
○ 세계 톱 수준의 고신뢰성의 독자 우주 수송 수단을 확보
(전략 이념2) 우주·해양 이용의 프론티어 개척
○ 지구에 관한 관측·감시 데이터의 포괄적인 이용 기술 개발
(전략 중점 과학기술)
① 신뢰성이 높은 우주 수송 시스템
② 위성의 고신뢰성·고기능화 기술
③ 해양 지구 관측 탐사 시스템( 차세대 해양 탐사 기술)
④ 해상 플랫폼 기술

(2) 전략 중점 과학기술의 범위
① 신뢰성이 높은 우주 수송 시스템
- H-ⅡA로켓의 개발·제작·발사
- H-ⅡB로켓(H-ⅡA로켓 성능 향상형)
-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
② 위성의 고신뢰성·고기능화 기술
- 재해 대책·위기 관리를 위한 위성 기반기술
- 원격 탐사 기술(hyperspectral sensor기술)
- 신뢰성 향상 프로그램(위성 관련)
- 우주 환경 신뢰성 실증 프로그램(SERVIS)
③ 해양 지구 관측 탐사 시스템(차세대 해양 탐사 기술)
- 세계 최고의 심해저 굴착 기술의 개발
- 차세대형 심해 탐사 기술의 개발
④ 해상 플랫폼 기술
- 해상 플랫폼의 연구 개발

[추진 방책]

(1) 산학관·부처간·기관간의 제휴 강화
기술, 아웃 리치나 교육 등, 우주와 해양 양자의 협력이 가능한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대규모 첨단기술을 가진 우주 기관, 해양 기관과 대학에 있어서의 연구·교육과의 사이의 한층 더 효율적인 제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인재의 육성
우주·해양의 전문 지식을 가진 인재나 시설을 활용한 교육의 실시, 체험적인 학습 기회의 지원·제공, 어린이의 관심을 끄는 우주·해양의 교재 작성·제공, 및 재미있는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원의 양성과 자질 향상에의 공헌 등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3)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영관리
우주, 해양 분야의 연구 개발은, 개발 기간이 길고 예산 규모가 큰 대규모 프로젝트가 많아, 개발 공정의 연장이나 비용 증가 등 계획을 변경했을 경우의 임펙트가 크기 때문에, 적정한 연구 개발 리스크의 평가나 적절한 프로젝트 관리가 특히 요구된다.
(4) 국제 협력·제휴의 추진
프런티어 분야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효과적·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제국제 협력·제휴가 불가결이며, 상대국이나 상황, 일본에 기대되는 역할을 근거로 해 다각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5) 유연한 분야별 추진 전략의 전개
내외의 정세 변화 등에 대응하여, 프런티어 분야 추진 전략을 필요시에는 수시로 재검토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영역을 신속히 수집·공유할 수 있는 구조를 정비함과 동시에, 정기적으로 재검토 장을 마련하는 것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주요 목차>
1.상황인식
(1) 제2기 과학기술 기본계획 기간의 총괄
(2) 해당 분야와 관계되는 제반 정세의 변화
(3) 해당 분야의 장래적인 파급효과의 객관적 평가
2.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
(1) 중요한 연구 개발 과제의 추출
(2) 연구 개발 목표와 성과 목표
3.전략 중점 과학기술
(1) 선택과 집중의 전략 이념
(2) 전략 중점 과학기술의 선정 이유와 기술의 범위
4.추진 방책
(1) 산학관·부처간·기관간의 제휴 강화
(2) 인재의 육성
(3)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영관리
(4) 국제 협력·제휴의 추진
(5) 유연한 분야별 추진 전략의 전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