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러, 정보산업 교류 협력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러시아
- 생성기관 중국전자정보망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3-24
- 등록일 2006-04-03
- 권호
지난 3월 22일 “중·러 경제공상계(經濟工商界) 최고위급 논단”의 일환인 “정보기술(IT) 논단”이 중국 신시산업부와 러시아 연방 정보기술과 통신부 공동 주관으로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다. 중국 신시산업부 왕신둥(王旭東) 부장(장관)과 시궈화(溪國華) 부부장(차관)은 같은 날 개막된 “중·러 경제공상계(經濟工商界) 최고위급 논단”에 참석하였다.
3월 22일 개최된 “정보기술(IT) 논단”에서 시궈화 부부장은 “중국 신시산업부와 러시아 연방 정보기술과 통신부는 공동으로 ‘통신과 정보기술 위원회’ 및 5개 프로젝트 사업소조를 설립했으며 최근 5년 동안 양국은 정보산업 분야에서 실제 효과가 높은 일련의 사업을 전개하여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제휴를 실속있게 추진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시궈화 부부장은 “중국과 러시아 연방은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호환성이 강하고 제휴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발전 전망이 아주 밝다”며 “향후 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양국은 계속하여 대화와 교류, 격려, 상호 지원을 진행하게 될 것이며 양국의 기업과 지역 평등호혜를 기반으로 제휴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시궈화 부부장은 “정보기술 논단”에서 양국이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제휴를 실속 있게 추진하기 위하여 5개 건의를 아래와 같이 제출했다
첫째, 양국이 체결한 협의서를 실속있게 실시해야 한다. “중·러 총리 제10차 회담 연합 공보”, “합작 양해 비망록” 등 협의서 관련 내용을 양국 정보산업 합작의 지침으로 삼고 이틀 안에서 양측은 반드시 각 종목의 협력사업를 실속있게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러시아 해변 변경지역(중국 국경과 인접한 지역)과 중국 헤이룽쟝성(黑龍江省)의 “중·러 정보산업원(圓)” 건설을 가속화해야 하며, 양호한 투자 환경을 마련하여 기업들 간의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정책 법규 제정에 관한 연구 토론을 통해 정보산업과 정보화 법제 제정에 관한 경험과 방법을 공유해야 한다.
넷째, 관련 전문가, 관원들의 교류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교류 강화를 통해 양 측은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다섯째, 양국은 산업 간의 협력 범위 확대를 통해 산업 간의 협력을 더욱 높은 차원으로 향상시켜야 한다.
*techtrend 참조
3월 22일 개최된 “정보기술(IT) 논단”에서 시궈화 부부장은 “중국 신시산업부와 러시아 연방 정보기술과 통신부는 공동으로 ‘통신과 정보기술 위원회’ 및 5개 프로젝트 사업소조를 설립했으며 최근 5년 동안 양국은 정보산업 분야에서 실제 효과가 높은 일련의 사업을 전개하여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제휴를 실속있게 추진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시궈화 부부장은 “중국과 러시아 연방은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호환성이 강하고 제휴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발전 전망이 아주 밝다”며 “향후 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양국은 계속하여 대화와 교류, 격려, 상호 지원을 진행하게 될 것이며 양국의 기업과 지역 평등호혜를 기반으로 제휴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시궈화 부부장은 “정보기술 논단”에서 양국이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제휴를 실속 있게 추진하기 위하여 5개 건의를 아래와 같이 제출했다
첫째, 양국이 체결한 협의서를 실속있게 실시해야 한다. “중·러 총리 제10차 회담 연합 공보”, “합작 양해 비망록” 등 협의서 관련 내용을 양국 정보산업 합작의 지침으로 삼고 이틀 안에서 양측은 반드시 각 종목의 협력사업를 실속있게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러시아 해변 변경지역(중국 국경과 인접한 지역)과 중국 헤이룽쟝성(黑龍江省)의 “중·러 정보산업원(圓)” 건설을 가속화해야 하며, 양호한 투자 환경을 마련하여 기업들 간의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정보산업 분야에서의 정책 법규 제정에 관한 연구 토론을 통해 정보산업과 정보화 법제 제정에 관한 경험과 방법을 공유해야 한다.
넷째, 관련 전문가, 관원들의 교류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교류 강화를 통해 양 측은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다섯째, 양국은 산업 간의 협력 범위 확대를 통해 산업 간의 협력을 더욱 높은 차원으로 향상시켜야 한다.
*techtrend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