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EU 정상회의(3): 연구개발혁신정책의 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정상회의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3-24
- 등록일 2006-04-03
- 권호
□ FP7과 혁신프로그램
EU 정상들은 이번 회의에서 집행위원회가 추진해 온 주요 연구개발 및 혁신정책의 틀에 지지를 표명하고 이를 적극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물론 지난해 12월 EU 예산안 의결에서 집행위원회의 연구개발예산 대폭 증액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지만, 이번 회의는 제7차 연구개발프레임워크프로그램(FP7)과 새로 마련된 경쟁력 강화 및 혁신프로그램(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Programme)의 신속한 채택을 결의했다.
또한 EU 정상들은 유럽연구위원회(European Research Council)의 조속한 설치도 촉구했다. 동시에 제7차 연구개발프레임워크프로그램(FP7)과 관련해 EU 정상들은 FP7 프로그램의 각 분야별 구체적인 대책을 다른 유럽 또는 개별 회원국 차원의 민관파트너십(PPP: public-private partnerships) 진흥 프로그램과 EUREKA 등 기존 정부 간 프로그램과 보다 잘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클러스터 구축 및 유럽 단일 연구원노동시장 창출
한편, EU 정상들은 매력적인 클러스터 창출을 통해 보다 역동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각 회원국들은 개방적이고 경쟁적인 유럽 단일 연구원 노동시장 창출에 보조를 맞추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 각 회원국은 연구원들의 지리적, 부문 간 이동을 저해하는 장애를 제거하고 연구원들의 취업과 노동조건을 개선하며 젊고 재능 있는 인재들이 연구원으로 자기 경력을 쌓아갈 수 있도록 유인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지적되었다. 산학 협력의 중요성도 다시 한번 되풀이 강조되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은 산학협력과 기술이전이 더욱 활발해져야 하며, 기업내 연구원의 조건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 혁신정책
혁신정책과 관련해 EU 정상들은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혁신적 재화 및 서비스 시장을 육성하고 정보통신기술과 생태적 혁신기술(eco-innovations)을 포함한 신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실질 부가가치 창출과 생산성 제고 잠재력이 큰 우수한 혁신정책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U 정상들은 혁신과정의 효과를 높이고 혁신을 제품 및 서비스로 사업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혁신시스템, 비즈니스 환경 사이의 연계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며 지식에 대한 투자를 제품과 서비스로 실현할 포괄적인 유럽적 혁신전략을 촉구했다. 이런 맥락에서 EU 정상들은 Esko Aho 전 핀란드 수상을 위원장으로 한 고위전문가그룹이 올 초 발표한 보고서 <혁신적 유럽의 창출>(Creating an Innovative Europe)이 가진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집행위원회에 이 보고서에서 제시된 권고안을 평가하고 진척 상황을 연말까지 보고할 것을 요청했다.
□ 대학과 산학연 협력
EU 정상들은 교육과 훈련이 EU의 장기적인 경쟁 잠재력을 발전시키고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규정했다. 모든 수준의 교육과 훈련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이 부문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특히 산학연 연계의 강화가 핵심적임을 강조했다.
*techtrend참조
EU 정상들은 이번 회의에서 집행위원회가 추진해 온 주요 연구개발 및 혁신정책의 틀에 지지를 표명하고 이를 적극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물론 지난해 12월 EU 예산안 의결에서 집행위원회의 연구개발예산 대폭 증액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지만, 이번 회의는 제7차 연구개발프레임워크프로그램(FP7)과 새로 마련된 경쟁력 강화 및 혁신프로그램(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Programme)의 신속한 채택을 결의했다.
또한 EU 정상들은 유럽연구위원회(European Research Council)의 조속한 설치도 촉구했다. 동시에 제7차 연구개발프레임워크프로그램(FP7)과 관련해 EU 정상들은 FP7 프로그램의 각 분야별 구체적인 대책을 다른 유럽 또는 개별 회원국 차원의 민관파트너십(PPP: public-private partnerships) 진흥 프로그램과 EUREKA 등 기존 정부 간 프로그램과 보다 잘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클러스터 구축 및 유럽 단일 연구원노동시장 창출
한편, EU 정상들은 매력적인 클러스터 창출을 통해 보다 역동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각 회원국들은 개방적이고 경쟁적인 유럽 단일 연구원 노동시장 창출에 보조를 맞추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 각 회원국은 연구원들의 지리적, 부문 간 이동을 저해하는 장애를 제거하고 연구원들의 취업과 노동조건을 개선하며 젊고 재능 있는 인재들이 연구원으로 자기 경력을 쌓아갈 수 있도록 유인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지적되었다. 산학 협력의 중요성도 다시 한번 되풀이 강조되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은 산학협력과 기술이전이 더욱 활발해져야 하며, 기업내 연구원의 조건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 혁신정책
혁신정책과 관련해 EU 정상들은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혁신적 재화 및 서비스 시장을 육성하고 정보통신기술과 생태적 혁신기술(eco-innovations)을 포함한 신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실질 부가가치 창출과 생산성 제고 잠재력이 큰 우수한 혁신정책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U 정상들은 혁신과정의 효과를 높이고 혁신을 제품 및 서비스로 사업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혁신시스템, 비즈니스 환경 사이의 연계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며 지식에 대한 투자를 제품과 서비스로 실현할 포괄적인 유럽적 혁신전략을 촉구했다. 이런 맥락에서 EU 정상들은 Esko Aho 전 핀란드 수상을 위원장으로 한 고위전문가그룹이 올 초 발표한 보고서 <혁신적 유럽의 창출>(Creating an Innovative Europe)이 가진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집행위원회에 이 보고서에서 제시된 권고안을 평가하고 진척 상황을 연말까지 보고할 것을 요청했다.
□ 대학과 산학연 협력
EU 정상들은 교육과 훈련이 EU의 장기적인 경쟁 잠재력을 발전시키고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규정했다. 모든 수준의 교육과 훈련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이 부문의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특히 산학연 연계의 강화가 핵심적임을 강조했다.
*techtrend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