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EU 정상회의(3.23~24), 리스본 전략의 4개 중점분야* 집중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연구개발정보서비스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3-27
- 등록일 2006-04-03
- 권호
3월 23일과 24일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 정상회의에서 유럽 이사회는 지금부터 2007년 말까지 경쟁력 획득을 위해 우선권을 부여한 4개 분야에 노력을 쏟겠다는 집행 이사회의 제안에 동의했다.
José Manuel Barroso 집행위원장은 성장과 고용 증대를 위한 리스본 전략의 재활성화를 선언하면서, 중요한 것은 그의 이행에 집중된다고 덧붙였다.
유럽의 국가 원수들은 유럽연합이 앞으로 18개월 동안 연구와 기술 혁신 분야에 투자를 늘이고,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들의 잠재성을 개발하고, 고용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안정적인 환경적 성장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그들은 국가재건협약(PNR, Programme for National Recovery)의 실시에 따른 활력을 유지할 필요성에 동의를 표했다.
지식과 기술 혁신 분야로 투자를 늘인다는 문제에 있어서, 이사회는 연구 개발(R&D) 분야에서 각 나라가 목표를 정하고 있음을 치하하면서, 2002년 바르셀로나 회의 시 정해진 연구 기술 개발 투자비의 GDP 대비 3% 도달이라는 목표를 향해 계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독려했다. 이사회는 보다 혁신적인 유럽의 설립에 대한 Aho 보고서의 결과를 인정하면서, 위원회에게 기술 혁신 분야에서의 유럽의 전략 설립을 위해 보고서의 권고조항들을 평가할 것을 청했다. 연구 담당 집행 위원인 Janez Potocnik의 대변인에 따르면, 위원회는 이사회가 Aho 보고서를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해줄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결론에서 이사회는 유럽연합의 연구 기초 프로그램의 테두리에서 수행된 활동들을 유럽과 국가별 차원에서 수행되는 다른 활동들과 보다 잘 연계시킬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원들의 지리적 혹은 분야별 이동성을 구속하는 장애를 극복해나가야 하는 점도 지적되었다. 집행 위원회는 연구원들을 위한 단일 시장의 정착을 위한 이사회의 지원을 높이 평가했다.
유럽기술연구소(IET)의 Barroso 소장의 프로젝트에 대해서, 이사회는 그러한 기구의 설립이 "고등 교육과 연구와 혁신 간의 괴리를 메울 수 있는 중요한 대책"이 될 것임을 인정했다. 유럽기술연구소가 어떤 구조를 갖게 될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초기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의 지도자들은 단일한 중앙 조직 내에 관련 활동을 모으는 방법보다 기존의 기관들의 네트워크를 형성시키는 방향을 선호하는 것 같다. Potocnik 위원의 대변인은 유럽기술연구소의 설립이 유럽연구이사회(European Research Council)의 힘을 약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며, 오히려 유럽 연구이사회가 이의 설립에 견인차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사회는 위원회에게 2006년 6월의 다음 회의 전까지 유럽기술연구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제안을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다른 3개의 우선 분야에 대해서 이사회는 위원회의 제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중소기업의 잠재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이사회는 보다 작은 단위에 우선권을 준다는 원칙("think small first")을 고수하고 회원국들이 2007년 말까지 일주일 안에 기업을 설립할 수 있는 단일 창구를 정착시킬 수 있게 한다는 목표를 승인했다.
정상회의와는 별개로 집행 위원회는 2007년 말까지 젊은이들이 학업을 마친 후 6개월 내에 고용, 견습, 혹은 보완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사회는 제안된 6개월의 기한이 2010년까지는 4개월로 감소되어야 할 것이라고 확인하면서 위원회의 목표를 지지했다. 유럽 의회의 Josep Borrell 의장도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이사회는 집행위원회의 유럽 에너지 정책 녹서(green paper)의 편찬을 치하하고, 환경 기술과 생태학적 기술 혁신을 장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유럽 기업들이 주장한 "flexicurity"의 원칙에 따른, 고용의 유연성과 안정성 간의 균형을 이루어가는 접근 방법을 인정했다.
*techtrend참조
José Manuel Barroso 집행위원장은 성장과 고용 증대를 위한 리스본 전략의 재활성화를 선언하면서, 중요한 것은 그의 이행에 집중된다고 덧붙였다.
유럽의 국가 원수들은 유럽연합이 앞으로 18개월 동안 연구와 기술 혁신 분야에 투자를 늘이고,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들의 잠재성을 개발하고, 고용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안정적인 환경적 성장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그들은 국가재건협약(PNR, Programme for National Recovery)의 실시에 따른 활력을 유지할 필요성에 동의를 표했다.
지식과 기술 혁신 분야로 투자를 늘인다는 문제에 있어서, 이사회는 연구 개발(R&D) 분야에서 각 나라가 목표를 정하고 있음을 치하하면서, 2002년 바르셀로나 회의 시 정해진 연구 기술 개발 투자비의 GDP 대비 3% 도달이라는 목표를 향해 계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독려했다. 이사회는 보다 혁신적인 유럽의 설립에 대한 Aho 보고서의 결과를 인정하면서, 위원회에게 기술 혁신 분야에서의 유럽의 전략 설립을 위해 보고서의 권고조항들을 평가할 것을 청했다. 연구 담당 집행 위원인 Janez Potocnik의 대변인에 따르면, 위원회는 이사회가 Aho 보고서를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해줄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결론에서 이사회는 유럽연합의 연구 기초 프로그램의 테두리에서 수행된 활동들을 유럽과 국가별 차원에서 수행되는 다른 활동들과 보다 잘 연계시킬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원들의 지리적 혹은 분야별 이동성을 구속하는 장애를 극복해나가야 하는 점도 지적되었다. 집행 위원회는 연구원들을 위한 단일 시장의 정착을 위한 이사회의 지원을 높이 평가했다.
유럽기술연구소(IET)의 Barroso 소장의 프로젝트에 대해서, 이사회는 그러한 기구의 설립이 "고등 교육과 연구와 혁신 간의 괴리를 메울 수 있는 중요한 대책"이 될 것임을 인정했다. 유럽기술연구소가 어떤 구조를 갖게 될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초기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의 지도자들은 단일한 중앙 조직 내에 관련 활동을 모으는 방법보다 기존의 기관들의 네트워크를 형성시키는 방향을 선호하는 것 같다. Potocnik 위원의 대변인은 유럽기술연구소의 설립이 유럽연구이사회(European Research Council)의 힘을 약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며, 오히려 유럽 연구이사회가 이의 설립에 견인차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사회는 위원회에게 2006년 6월의 다음 회의 전까지 유럽기술연구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제안을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다른 3개의 우선 분야에 대해서 이사회는 위원회의 제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중소기업의 잠재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이사회는 보다 작은 단위에 우선권을 준다는 원칙("think small first")을 고수하고 회원국들이 2007년 말까지 일주일 안에 기업을 설립할 수 있는 단일 창구를 정착시킬 수 있게 한다는 목표를 승인했다.
정상회의와는 별개로 집행 위원회는 2007년 말까지 젊은이들이 학업을 마친 후 6개월 내에 고용, 견습, 혹은 보완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사회는 제안된 6개월의 기한이 2010년까지는 4개월로 감소되어야 할 것이라고 확인하면서 위원회의 목표를 지지했다. 유럽 의회의 Josep Borrell 의장도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이사회는 집행위원회의 유럽 에너지 정책 녹서(green paper)의 편찬을 치하하고, 환경 기술과 생태학적 기술 혁신을 장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유럽 기업들이 주장한 "flexicurity"의 원칙에 따른, 고용의 유연성과 안정성 간의 균형을 이루어가는 접근 방법을 인정했다.
*techtrend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