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에 관한 과학기술예측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3-20
- 등록일 2006-04-04
- 권호
2006년2월 중국정부는 향후 15년간의 과학기술진흥방침을 제시하는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 요강’을 발표했다. 이 요강에서는 2020년까지 사회전체 연구개발비의 GDP비를 2.5% 이상까지 끌어올리고, 과학기술진보의 대GDP기여율을 60%이상으로, 대외 기술의존도를 30%이하로 하며, 중국인의 특허권 취득수와 과학논문의 인용수가 세계5위 이내로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20년까지의 목표로서는 (1)이노베이션(기술혁신) 능력의 증강, 과학기술에 의한 경제・사회의 발전촉진, 국가의 안전보장능력 증강으로 여유있는 사회구축을 지원한다. (2)기초과학과 첨단기술연구의 종합력을 강화시켜 세계에서 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성과를 내어 혁신형 국가를 이룩하고, 금세기반에 세계의 과학기술강국을 이루기 위하여 기초를 굳힌다라는 것을 들고 있다.
한편, 산업구조의 조정, 지역간의 조화와 발전 등을 들은 제11차 5개년 계획의 책정도 추진하여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심의, 채택되었다. 이러한 계획책정의 움직임에 맞추어 2002년 부터 과학기술부 및 중국과학원에 의해 기술예측이 실시되어 이번에 일련의 보고서가 모두 나왔다.
과학기술부는 일본의 성에 해당하는 조직이며, 중국과학원은 국무원직하의 사업부문으로 중국최대의 자연과학 학술기구인 동시에 종합연구센터이다. 중국과학원은 산하에 6학술부문, 약90개의 연구기관, 12지부 등이 있으며, 학사(아카데미회원) 약700명, 직원총수 4.6만명되는 조직이다.(2005년 연보참고) 지금까지 특별행정구인 북경시, 상해시 또는 무한시(武漢市) 등에 있어서도 기술예측이 실시되어왔지만, 과학기술진흥에 관계되는 계획책정을 위해 정부차원의 기술예측이 실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학기술부와 중국과학원은 모두 장래 사회상(또는 니즈)를 검토한 뒤에 델파이방법으로 기술발전에 관한 앙케이트를 실시한다는 순서를 취하고 있다. 델파이법은 다수의 전문가에게 같은 내용의 앙케이트를 반복하여 회답자의 의견을 수렴시키는 조사방법으로, 일본에서는 1971년부터 거의 5년마다 조사가 실시(제5회부터 과학기술정책연구소가 담당)되고 있다. 델파이 앙케이트는 일본의 방법을 모방하고 있으며, 2회의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시키는 방법으로 질문항목 및 평가방법 등 공통점이 많다.
본 보고서는 중국 양(兩)조사의 개요를 소개함과 동시에 주목해야 할 기술(記述)과 데이터를 간추려 과학기술정책입안 및 실행에 종사하는 관계자에게 참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1.서문
2. 과학기술부에 의한 기술예측
2-1. 조사대상분야와 설문
2-2. 과학기술에 대한 니즈의 검토
2-3. 주목되는 조사결과
3. 중국과학원에 의한 기술예측
3-1. 조사대상분야와 설문
3-2. 2020년 중국의 과학기술의 이미지
3-3. 주목되는 조사결과
3-4. 중요한 기술과제의 발전동향 시나리오
4. 결론
또한 2020년까지의 목표로서는 (1)이노베이션(기술혁신) 능력의 증강, 과학기술에 의한 경제・사회의 발전촉진, 국가의 안전보장능력 증강으로 여유있는 사회구축을 지원한다. (2)기초과학과 첨단기술연구의 종합력을 강화시켜 세계에서 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성과를 내어 혁신형 국가를 이룩하고, 금세기반에 세계의 과학기술강국을 이루기 위하여 기초를 굳힌다라는 것을 들고 있다.
한편, 산업구조의 조정, 지역간의 조화와 발전 등을 들은 제11차 5개년 계획의 책정도 추진하여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심의, 채택되었다. 이러한 계획책정의 움직임에 맞추어 2002년 부터 과학기술부 및 중국과학원에 의해 기술예측이 실시되어 이번에 일련의 보고서가 모두 나왔다.
과학기술부는 일본의 성에 해당하는 조직이며, 중국과학원은 국무원직하의 사업부문으로 중국최대의 자연과학 학술기구인 동시에 종합연구센터이다. 중국과학원은 산하에 6학술부문, 약90개의 연구기관, 12지부 등이 있으며, 학사(아카데미회원) 약700명, 직원총수 4.6만명되는 조직이다.(2005년 연보참고) 지금까지 특별행정구인 북경시, 상해시 또는 무한시(武漢市) 등에 있어서도 기술예측이 실시되어왔지만, 과학기술진흥에 관계되는 계획책정을 위해 정부차원의 기술예측이 실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학기술부와 중국과학원은 모두 장래 사회상(또는 니즈)를 검토한 뒤에 델파이방법으로 기술발전에 관한 앙케이트를 실시한다는 순서를 취하고 있다. 델파이법은 다수의 전문가에게 같은 내용의 앙케이트를 반복하여 회답자의 의견을 수렴시키는 조사방법으로, 일본에서는 1971년부터 거의 5년마다 조사가 실시(제5회부터 과학기술정책연구소가 담당)되고 있다. 델파이 앙케이트는 일본의 방법을 모방하고 있으며, 2회의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시키는 방법으로 질문항목 및 평가방법 등 공통점이 많다.
본 보고서는 중국 양(兩)조사의 개요를 소개함과 동시에 주목해야 할 기술(記述)과 데이터를 간추려 과학기술정책입안 및 실행에 종사하는 관계자에게 참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1.서문
2. 과학기술부에 의한 기술예측
2-1. 조사대상분야와 설문
2-2. 과학기술에 대한 니즈의 검토
2-3. 주목되는 조사결과
3. 중국과학원에 의한 기술예측
3-1. 조사대상분야와 설문
3-2. 2020년 중국의 과학기술의 이미지
3-3. 주목되는 조사결과
3-4. 중요한 기술과제의 발전동향 시나리오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