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국 환경보호청의 과학기술 예산에 대한 하원 소위원회에서의 증언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전국과학환경위원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3-16
- 등록일 2006-04-05
- 권호
이 보고서는 미 국가과학환경평의회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NCSE) 부의장인 도널드 랜젠버그 박사가 미 하원 과학위원회 산하 환경.과학.표준 소위원회에서 피력한 환경보호청 (EPA)의 2007회계년도 과학기술 예산제안서에 대한 증언에 관한 것이다. 랜젠버그 박사는 환경보호청이 그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환경보호청 내외 과학프로그램에 대한 투자 증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환경보호청의 현 우선순위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다.
1) 인류건강
2) 미립자 관련 건 (Particulate Matter)
3) 식수 (Drinking Water)
4) 청정수 (Clean Water)
5) 지구변화
6) 환경 호르몬 (Endocrine Disruptors)
7) 생태계 위기 (Ecological Risk)
8) 오염방지 (Pollution Prevention)
9) 국토방위 (Homeland Security)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의회가 환경보호청의 연구개발국에 최소한 7억달러 (2004년 수준 금액)의 예산을 계상하기를 촉구하였는 데, 이 금액은 결과창출과학 (Science to Achieve Results, STAR) 연구프로그램을 위한 1억5천만 달러와 STAR 대학원 장학금 프로그램을 위한 2천만 달러를 포함한다.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환경보호청의 과학기술을 위해 9억달러를 추천하였으며, 또한 환경교육국 (Off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예산을 최소 1천만 달러 수준으로 회복할 것을 촉구하였다.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환경적 정책결정을 위한 과학 기반 향상에 전념하고 있으며 대학, 과학협회들, 정부 협회들을 포함한 500개 이상의 기관으로부터 협조를 받고있다.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과학과 정책결정에 있어서 과학의 역할을 장려하나 환경적 현안들에 대해 특정한 관점을 피력하지는 않는다.
위에 제시된 보고서의 절대경로 이외에 추가 정보는 다음의 두 웹사이트에서 찿아 볼 수 있다. 1) http://mail.kisti.re.kr/cgi-bin/htmlparse.cgi?html=lframe.html 2) http://www.ncseonline.org/SciencePolicy/
주요 목차
서론
환경과학과 정책결정
환경보호청의 과학 예산 제안 현황
환경보호청의 외부 과학과 교육 프로그램
환경교육국
결론
환경보호청의 현 우선순위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다.
1) 인류건강
2) 미립자 관련 건 (Particulate Matter)
3) 식수 (Drinking Water)
4) 청정수 (Clean Water)
5) 지구변화
6) 환경 호르몬 (Endocrine Disruptors)
7) 생태계 위기 (Ecological Risk)
8) 오염방지 (Pollution Prevention)
9) 국토방위 (Homeland Security)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의회가 환경보호청의 연구개발국에 최소한 7억달러 (2004년 수준 금액)의 예산을 계상하기를 촉구하였는 데, 이 금액은 결과창출과학 (Science to Achieve Results, STAR) 연구프로그램을 위한 1억5천만 달러와 STAR 대학원 장학금 프로그램을 위한 2천만 달러를 포함한다.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환경보호청의 과학기술을 위해 9억달러를 추천하였으며, 또한 환경교육국 (Off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예산을 최소 1천만 달러 수준으로 회복할 것을 촉구하였다.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환경적 정책결정을 위한 과학 기반 향상에 전념하고 있으며 대학, 과학협회들, 정부 협회들을 포함한 500개 이상의 기관으로부터 협조를 받고있다. 국가과학환경평의회는 과학과 정책결정에 있어서 과학의 역할을 장려하나 환경적 현안들에 대해 특정한 관점을 피력하지는 않는다.
위에 제시된 보고서의 절대경로 이외에 추가 정보는 다음의 두 웹사이트에서 찿아 볼 수 있다. 1) http://mail.kisti.re.kr/cgi-bin/htmlparse.cgi?html=lframe.html 2) http://www.ncseonline.org/SciencePolicy/
주요 목차
서론
환경과학과 정책결정
환경보호청의 과학 예산 제안 현황
환경보호청의 외부 과학과 교육 프로그램
환경교육국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