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지역혁신 사례 : 연구성과를 지역사회에 환원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03
  • 등록일 2006-04-05
  • 권호
지역혁신 사례 : 연구 성과를 지역사회에 환원

*1996년부터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가 추진해 온 “지역 연구개발 촉진 거점 지원 사업(RSP : Regional Science Promotion Program)이 2005년 말에 완료되었다. 현재까지 39개 지역에서 추진한 RSP사업 중에서 지방 자치단체 및 대학에서의 코디네이터 육성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코디네이터의 주요 역할은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 성과를 그 지역에 있는 기업체에 확산시키는 일이다.

*실제로 고지현(高知縣)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민간 기업체 출신인 코디네이터 4명은 (재)고지현산업진흥센터와 제휴를 맺고 지역 내 대학의 공동연구센터, 11개 자치단체 등을 방문하면서 기술의 공급능력을 발굴하고, 실용화 연구를 위한 연구 과제를 수집하였다. 대학으로 하여금 특허신청을 많이 하도록 유도하고 지적재산에 대한 의식도 고취시켰다.

*기업체를 직접 방문해 RSP사업을 설명하고 연구기관에서 연구하고 있는 연구내용들을 알려주고 있다. 지난 5년간 발굴한 실적은 1,600여건이며 그 중에서 300여건이 선별되었다. 이들을 엄격히 심사해 10개 연구 과제를 선정해 연간 200~300만 엔씩 지원하였다. 연구개발을 통해 상품화한 사례도 적지 않다.

*RSP사업의 특징은 곧바로 상품화되지 않아도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과학기술진흥기구 등 사업의 연구과제로 선정되어 실용화를 위한 사업이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물고기의 냉수병에 대한 ‘왁진' 개발사업이 2005년도 과학기술진흥기구의 위탁과제로 선정되어, 연구개발비 3억 엔/3년간을 지원받아 실용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학 및 연구기관에 대한 기업체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대학의 연구실을 개방하고 기업체에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체 관련자들이 관심을 갖게 하는 좋은 방법은 어느 교수가 어떤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술의 내용이 무엇인지 등을 자세히 알려주는 일이다.

*지역의 과학기술 진흥을 위해 많은 코디네이터들이 노력해야 한다. 원래 지역 연구개발 진흥사업은 지방 자치단체가 담당하였으며 RSP사업은 그 기반을 구축하는 일이 주요 사업이었다. 앞으로는 지방 자치단체가 이를 계속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진흥기구도 지역 진흥사업을 시작해 포스트 RSP사업을 통해 500여 연구 과제를 모집하였다. 이에 따라 코디네이터의 활성화가 기대되며, 코디네이터들을 통해 일본 과학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프로세스가 크게 변화되고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