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새로운 하이테크 기업 인증 정책 실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창신망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11
- 등록일 2006-04-12
- 권호
최근에 열린 “2006년 중국 벤처 투자 포럼”에서 중국 과학기술부 금융연구실 궈어룽(郭戎) 주임은 “중국 과학기술부와 재정부 등은 새로운 ‘하이테크 기업 인증 방법’ 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하이테크 기업 인증에 있어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는 하이테그 기업 범주의 확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궈어룽 주임은 “이전에 제정된 하이테크 기업 인증 방법은 현실에 적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인증 방법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과학기술부와 재정부는 여러 지역에서 하이테크 기업에 대한 조사연구를 벌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증 방법을 제정하기 위하여 이전에 하이테크 기업으로 인정 받은 기업들도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중국 과학기술부는 2000년에 “국가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 하이테크 기업 인증 조건과 방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생물공정기술, △신의약 기술, △신소재 및 응용기술, △선진 제조기술, △항공우주기술, △현대농업기술, △신에너지와 고효율 에너지 절약 기술, △환경보호 신기술, △해양공정기술, △핵응용기술 등 10대 분야가 하이테크 산업으로 규정되었다.
한편 중국재정부의 책임자는 “올해 8월 중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중국 내자 기업 소득세와 외자 기업 소득세에 대한 합병에 관한 방안’을 심의하게 된다”며 “이 방안이 통과되면 하이테크 기업 범위가 기존보다 넓어질 것이며 하이테크 기업에 관련된 세금 혜택 정책도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kosen21 참조
이어 궈어룽 주임은 “이전에 제정된 하이테크 기업 인증 방법은 현실에 적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인증 방법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과학기술부와 재정부는 여러 지역에서 하이테크 기업에 대한 조사연구를 벌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증 방법을 제정하기 위하여 이전에 하이테크 기업으로 인정 받은 기업들도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중국 과학기술부는 2000년에 “국가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 하이테크 기업 인증 조건과 방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생물공정기술, △신의약 기술, △신소재 및 응용기술, △선진 제조기술, △항공우주기술, △현대농업기술, △신에너지와 고효율 에너지 절약 기술, △환경보호 신기술, △해양공정기술, △핵응용기술 등 10대 분야가 하이테크 산업으로 규정되었다.
한편 중국재정부의 책임자는 “올해 8월 중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중국 내자 기업 소득세와 외자 기업 소득세에 대한 합병에 관한 방안’을 심의하게 된다”며 “이 방안이 통과되면 하이테크 기업 범위가 기존보다 넓어질 것이며 하이테크 기업에 관련된 세금 혜택 정책도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kosen2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