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개발 도상국들의 열대림 보호 계획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유레카얼러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4-12
- 등록일 2006-04-13
- 권호
'뉴 사이언티스트' 최근호(4월 14일)에 실린 한 논문에서 파나마 스미소니언 열대 연구소의 저명한 생물학자는 개발도상국의 새로운 정책 계획이 현재의 열대림 파괴를 줄이는데 커다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스미소니언 연구소의 과학자이며 열대 생물학 보존협회의 회장이기도 한 윌리엄 로랜스는 “이 제안은 열대림을 팔거나 임대하여 열대림이 저장하는 수십억 톤의 탄소를 보호하고 대기의 온실가스 축적을 막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의 온실가스의 가속적인 증가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간주되고 있다. 국제 기후 변화 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1분 당 50개의 축구장이 사라지는 비율로 없어지는 열대림의 파괴가 인간에 의한 온실가스 방출의 1/4을 차지한다.
현재 파푸아 뉴기니와 코스타리카가 주도하는 개발도상국의 연합이 새로운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은 선진국이 일정 금액의 돈을 출연하여 개발도상국들이 삼림 파괴를 막게 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진국은 교토협약과 기타 국제 조약 하에서 이른바 “탄소 평점”을 얻게 된다.
로랜스 박사는 “이는 기본적으로 모두를 위한 윈-윈 상황이다. 삼림도, 대기도, 국제 사회도, 그리고 개발 도상국들도 모두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문제는 실천이다. 기존의 비슷한 정책은 실패했다”고 말했다.
브라질과 같은 일부 개발도상국들은 교토협약 하에서 이러한 정책을 따를 경우 장기적으로 개발 가능성을 잃을까 두려워 이를 거부했었다. 그러나 새로운 계획은 급속히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고 있다. “핵심은 이 계획이 경제개발을 위해 자신의 삼림을 급속히 잃는데 대한 대안을 진지하게 찾는 개발도상국들에 의해 나왔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이 열대림 보호 국제 계획의 자세한 사항은 http://www.rainforestcoalition.org/에 나와 있다.
*techtrend참조
스미소니언 연구소의 과학자이며 열대 생물학 보존협회의 회장이기도 한 윌리엄 로랜스는 “이 제안은 열대림을 팔거나 임대하여 열대림이 저장하는 수십억 톤의 탄소를 보호하고 대기의 온실가스 축적을 막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의 온실가스의 가속적인 증가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간주되고 있다. 국제 기후 변화 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1분 당 50개의 축구장이 사라지는 비율로 없어지는 열대림의 파괴가 인간에 의한 온실가스 방출의 1/4을 차지한다.
현재 파푸아 뉴기니와 코스타리카가 주도하는 개발도상국의 연합이 새로운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은 선진국이 일정 금액의 돈을 출연하여 개발도상국들이 삼림 파괴를 막게 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진국은 교토협약과 기타 국제 조약 하에서 이른바 “탄소 평점”을 얻게 된다.
로랜스 박사는 “이는 기본적으로 모두를 위한 윈-윈 상황이다. 삼림도, 대기도, 국제 사회도, 그리고 개발 도상국들도 모두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문제는 실천이다. 기존의 비슷한 정책은 실패했다”고 말했다.
브라질과 같은 일부 개발도상국들은 교토협약 하에서 이러한 정책을 따를 경우 장기적으로 개발 가능성을 잃을까 두려워 이를 거부했었다. 그러나 새로운 계획은 급속히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고 있다. “핵심은 이 계획이 경제개발을 위해 자신의 삼림을 급속히 잃는데 대한 대안을 진지하게 찾는 개발도상국들에 의해 나왔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이 열대림 보호 국제 계획의 자세한 사항은 http://www.rainforestcoalition.org/에 나와 있다.
*techtrend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