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장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 계획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네트워킹과정보기술연구개발프로그램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4-15
  • 등록일 2006-04-19
  • 권호
개인 PC와 인터넷 기술의 발달을 통한 인터넷 사용량 증가로 인해 컴퓨터와 인터넷은 IT 인프라의 아주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IT 인프라가 점점 세계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이를 위협하는 요소들도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의 특성상 해커나 테러리스트가 언제 어디서 중요 정보나 중요 기반 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가할지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미국 정부는 IT 인프라를 위험 요소들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장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 계획”은 이 안건에 대한 정부의 첫 걸음으로써 정부는 이 계획을 통해서 사이버 보안을 연구 및 개발하기 위한 투자와 환경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관련 기술 정보들을 각 분야별로 분류하여 각 분야별로 연구개발 우선순위 및 투자 순위를 파악해서 중요하거나 보다 시급한 분야에 대한 분야 순서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이버 보안과 정보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각 부서간의 체계적인 시스템은 물론 민간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도 요구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부의 연구개발은 민간단체에서 이미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 이외의 중요 분야에 집중 되어야 하며 특히 그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분야에 집중되어야 한다. 현재 IT 기본 구조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뿐 만 아니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보다 안전한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여 현재의 불안정한 구조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부 각 부처는 이 계획서의 기술 우선순위와 투자 분석을 토대로 민간 분야와 협동하여 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장 연구개발 우선순위를 위한 로드맵을 작성하고 민간 단체는 물론 다른 나라 정부 및 연구소와도 긴밀하게 협조하여 보다 효과적인 연구개발을 해야한다.

<목차>

주요 요약

I. 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장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 계획
개관
약점, 위협 및 위험
분석 및 계획 구조
결과 및 권고사항
결론

II. 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장 연구개발에 대한 기술적 전망
1. 기능적 사이버 보안
2. 기초구조 보호
3. 도메인 별 보안
4. 사이버 보안 분류 및 평가
5. 사이버 보안의 기초
6. 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장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
7. 사이버 보안을 위한 고급 및 차세대 시스템과 구조
8. 사이버 보안의 사회적 중요성

부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