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06년 미래를 위해 부상하는 10대 기술 원문보기 1

  • 국가 프랑스
  • 생성기관 futura-science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4-18
  • 등록일 2006-04-20
  • 권호
매해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는 부상하는 10대 기술 리스트를 발표한다. 올해의 10대 기술로 선정된 몇몇 기술들은 정보 기술의 영역을 초월하는 지식의 영역에 들어간다. 유전자의 구조가 아닌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암의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치료 방법을 식별하려는 Epigenetics, 특정 세포 내에 약을 주입하려는 나노 의학, 혹은 세포의 분자들간의 상호작용 지도로부터 새로운 의학적 해결을 찾아가는 Comparative interactomics(비교 상호 작용체학) 등이 그것이다.

선정된 몇몇 "이머징 기술"들은 정보 통신 기술과 아주 밀착된 것들이고 미래를 위해서 아주 흥미로운 전망을 제시한다.

파장의 혼잡을 피하기 위한 프로세스인 "인지 라디오"의 사례가 그것이다. 우리를 둘러싼 모든 센서가 비슷한 파장으로 교류한다는 관점에서 우리는 어느 순간 포화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Santa Barbara의 캘리포니아 대학의 Heather Zheng 박사는 테크놀로지 리뷰가 지적하고 있는 다른 5개 연구소처럼, 무선 통신 장치가 전파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선한다는 비전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 인지 라디오의 개념은 통신체들이 전파 스펙트럼의 이용되지 않은 주파(band)를 탐지하고 통신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맞춘다는 발상에서 온다.

테크놀로지 리뷰는 "편재하는" 무선 기술을 선정했다. Rutgers 대학(뉴저지)의 Winlab(Wireless Information Network Laboratory) 연구소의 Dipankar Raychaudhuride 소장은 우리의 무선 장비들이 여러 무선 네트워크를 활발하게 연합하면서 "끊임 없이(seamless)" 교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이 좋은 예이다. 제품에 부착된 이 칩을 통해서, 가깝게 위치한 차량들이 도로 상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받는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장비들이 단순하게 교신하기 위해서는 공동 통신 규약(protocol)을 따라야 한다. Raychaudhuri 소장은 다양한 이질적인 장비들을 위해서 "무선 통신 규약 시험 플랫폼(wireless protocol test platform)"을 제안하겠다는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다.

한편, 오하이오 주립 대학의 Scott Cantor 박사는 보편적인 인증(authentification) 시스템을 위해 작업한다. 그는 온라인 식별 시스템의 분절화(balkanization)가 웹 인증(web authentification) 프로세스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완전한 보안 상태에서 인터넷의 바다를 서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가 개발한 시볼레스(Shibboleth) 시스템은 네트워크 접속자의 신분 인증 기술의 보안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오하이오 대학의 한 학생이 브라운 대학의 온라인 도서관에 접속하고자 한다고 생각해보자. 오하이오 대학은 학생의 정보(이름, 나이, 학업 과정)을 가지고 있다. 학생이 자신의 대학 웹사이트에서 신원이 확인되기만 하면, 다른 대학 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여기서 이 소프트웨어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의 나이나 이름 등의 다른 정보를 주지 않고도, 인터넷 이용자가 오하이오 대학의 학생임을 알리면서, 신원 확인 정보를 준다.

오늘날 대학 사회에서 500여 개의 웹사이트가 시볼레스 시스템을 사용하며, Reed Elsevier 출판사는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출판사의 카달로그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Liberty Alliance 프로젝트의 맥락에서, 이 시스템은 곧 다른 민간 파트너들에게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techtrend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