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유휴 컴퓨터를 이용한 의학 연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사이언스데일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4-17
  • 등록일 2006-04-20
  • 권호
생물학이나 의학에 관한 지식이 없어도 말라리아, HIV나 암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돕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단지 컴퓨터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조건만 갖추어지면 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이러한 세계의 가장 무서운 살인 원인들에 대한 처치와 치료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컴퓨터들이 매일 수시간씩 놀고 있는 것을 이용하자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Rosetta@home]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이러한 컴퓨터 시간을 기부하게 하여 생명의료 연구를 돕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지만 과학 및 의학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Rosseta@Home]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미국 워싱톤 대학의 데이빗 베이커(David Baker) 박사는 주장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분산 컴퓨팅이라는 개념에 의존한 것인데, 이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수백 대 혹은 수천 대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복잡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어떤 과학적인 주제들은 복잡하고 대용량의 계산을 요구하는데, 세계 최고속의 슈퍼 컴퓨터를 이용해서 풀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짜를 수 있게 하여 가정용 컴퓨터에서도 계산이 가능하게 한다. 수백, 수천, 수 십만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면 복잡한 문제를 풀 수 있는 컴퓨터 계산 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분산 컴퓨팅 방법은 지구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외계 생명체를 찾는 목적이나 지구 환경 변화 예측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Rosseta@Home] 프로젝트는 단백질에 관련된 과학에 가정용 컴퓨터를 이용하자는 것으로 단백질이 복잡한 3차원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는가를 이해하면 어떻게 생명체가 시작되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질병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법으로는 [Rosetta@home] 웹사이트(http://boinc.bakerlab.org/rosetta/)에 접속하고 [Rosseta]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사용되지 않을 때까지 조용히 있다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가면 [Rosseta@Home]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조각을 가져온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돌아와서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는 다시 활동을 중지하다가 다음 번 휴지기를 기다리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