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 있어서 경제산업성 향후의 산학제휴시책에 대하여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산학관연계저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15
  • 등록일 2006-04-20
  • 권호
1. 서두
최근 국제적인 경쟁격화, 기술혁신의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 기업은 더욱더 경쟁력을 강화하고, 부가가치 높은 제품, 서비스를 창조해 나가기 위해 집중과 선택 등의 새로운 추진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많은 연구자와 많은 연구성과를 가진 ‘지적창조거점’으로서의 대학도 그 성과의 사회환원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학제휴를 통한 경제활성화가 크게 기대되고 있다. 산학제휴의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스탠포드 대학과 MIT 등의 연구대학에서 바이오, IT 의 하이테크 분야에 있어 계속 성장성 높은 신사업 및 벤처가 탄생했다. 이것들이 미국 경제의 부활을 이끌어 냈다는 것이 세계적으로 주목되어 각국에서도 적극적인 산학제휴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대학이 갖고 있는 다양한 지적인 축적과 연구・ 인재 측면의 커다란 잠재력을 사회전체로 활용해 나간다는 시점에서, 연구면와 교육면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제휴를 심화시켜나가며, 서로의 미션, 조직문화의 차이점을 넘어 윈윈의 관계로 활발한 산학제휴가 이루어지도록 각종의 지원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의 연구성과를 민간기업에의 기술이전촉진, 대학발벤처 육성지원, 경제사회의 니즈를 적절하게 부응한 산학제휴에 의한 대학 인재육성지원을 3개의 큰 축으로 산학제휴를 촉진하고 있다.

2. 제3기 기본계획에 있어 산학제휴에의 기대
2006년부터 새롭게 시작한 제3기 기본계획에서는 하드면의 인프라 정비 등의 “제품”을 우선하는 생각에서 과학기술 및 교육 등의 경쟁력 원천인 “인간”에 착목하여 투자하는 계획으로 중점을 옮기고 있다. 그 중에서는 개개인의 인재가 가진 의욕과 정열을 끌어내 창조력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과학기술시스템 개혁으로 추진하는 것을 들고 있다.산학제휴는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불가결한 수단으로서 향후에도 지속적, 발전적인 산학제휴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추진이 기대되고 있다. 경제산업성에서도 제3기 기본계획을 기초하여 이하와 같은 각종의 시책을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
1)산학제휴에 의한 연구개발의 효과적, 효율적 추진
2)대학발 벤처의 질적향상을 목표로
3)산학제휴에 의한 고도의 산업기술인재의 육성

3. 끝맺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