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프론티어 연구의 7개 성공 조건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연구개발정보서비스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06-04-07
- 등록일 2006-04-21
- 권호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나가는 프론티어 연구가 성공하기 위한 7개 핵심조건이 제시됐다.
현재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시행하고 있는 제6차 연구개발프레임워크프로그램(FP6) 가운데 아직 비전으로만 여겨지는 새로운 분야나 이제 막 부상하고 있는 유망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는 NEST(ew and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ies) 사업의 중간 성과물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최근 발간한 <7차 FP의 프론티어 연구를 위해>(Paving the way for Frontier Research in the 7th Framework Programme)라는 브로슈어에서 프론티어 연구의 성공조건으로 (1) 과학의 자유 존중, (2) 과학적 발견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 (3) 소규모 프로젝트의 진작, (4) 사회적 책임 증진, (5) 리스크에 과감한 동료평가, (6) 사용자친화적인 절차의 적용, (7) 투명성을 통한 신뢰 구축 등을 꼽았다. 이 브로슈어는 지난해 개최된 NEST컨퍼런스 결과를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먼저, 7개 성공조건 가운데 첫 번째 조건으로 지목된 과학의 자유 존중(Respecting scientific freedom)은 탐구자가 자체적으로 주도하는 프로젝트를 허용해 창조적인 기회 탐색과 과학기술 전 분야에 걸친 학제적 아이디어를 더욱 고취하자는 것이다.
두 번째인 과학적 발견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Rewarding scientific inventors)이라는 조건은 실패 위험이 높더라도 과학이나 사회, 경제에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라면, 그리고 비전과 과학적으로 건전한 목표를 가진 개척적 프로젝트라면 이를 과감하게 지원하자는 것이다.
또 세 번째 조건인 소규모 프로젝트의 진작(Allowing for smaller projects)은 소규모 연구프로젝트를 허용하는 적정하고 유연한 접근방법을 추구하는 것이 프론티어 연구를 성공으로 이끄는 요소라는 의미이며, 네 번째 사회적 책임 증진(Promoting social responsibility)은 과학기술분야에서의 새로운 발견이나 발명이 사회에 자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협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는 연구를 지원하자는 것이다.
다섯 번째 리스크에 과감한 동료평가(risk-tolerant scientific peer review)는 실패를 줄이기 위한 프로젝트가 아니라 과학적 기회를 확대할 프로젝트를 선정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동료평가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성공의 조건이 된다는 지적이다.
여섯 번째 조건인 사용자친화적인 절차의 적용(Applying user-friendly procedures)은 예를 들어 원격 심사나 2단계 제출 및 선정과정 등 제안자나 심사자의 자원투입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며, 마지막으로 투명성을 통한 신뢰 구축(building trust through transparency)은 신청자에게 가령 동료평가된 제안서를 완결적이고 투명하게 피드백함으로써 신뢰를 중시하는 것이 성공의 요인이라는 것이다
*techtrend참조
현재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시행하고 있는 제6차 연구개발프레임워크프로그램(FP6) 가운데 아직 비전으로만 여겨지는 새로운 분야나 이제 막 부상하고 있는 유망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는 NEST(ew and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ies) 사업의 중간 성과물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최근 발간한 <7차 FP의 프론티어 연구를 위해>(Paving the way for Frontier Research in the 7th Framework Programme)라는 브로슈어에서 프론티어 연구의 성공조건으로 (1) 과학의 자유 존중, (2) 과학적 발견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 (3) 소규모 프로젝트의 진작, (4) 사회적 책임 증진, (5) 리스크에 과감한 동료평가, (6) 사용자친화적인 절차의 적용, (7) 투명성을 통한 신뢰 구축 등을 꼽았다. 이 브로슈어는 지난해 개최된 NEST컨퍼런스 결과를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먼저, 7개 성공조건 가운데 첫 번째 조건으로 지목된 과학의 자유 존중(Respecting scientific freedom)은 탐구자가 자체적으로 주도하는 프로젝트를 허용해 창조적인 기회 탐색과 과학기술 전 분야에 걸친 학제적 아이디어를 더욱 고취하자는 것이다.
두 번째인 과학적 발견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Rewarding scientific inventors)이라는 조건은 실패 위험이 높더라도 과학이나 사회, 경제에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라면, 그리고 비전과 과학적으로 건전한 목표를 가진 개척적 프로젝트라면 이를 과감하게 지원하자는 것이다.
또 세 번째 조건인 소규모 프로젝트의 진작(Allowing for smaller projects)은 소규모 연구프로젝트를 허용하는 적정하고 유연한 접근방법을 추구하는 것이 프론티어 연구를 성공으로 이끄는 요소라는 의미이며, 네 번째 사회적 책임 증진(Promoting social responsibility)은 과학기술분야에서의 새로운 발견이나 발명이 사회에 자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협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는 연구를 지원하자는 것이다.
다섯 번째 리스크에 과감한 동료평가(risk-tolerant scientific peer review)는 실패를 줄이기 위한 프로젝트가 아니라 과학적 기회를 확대할 프로젝트를 선정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동료평가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성공의 조건이 된다는 지적이다.
여섯 번째 조건인 사용자친화적인 절차의 적용(Applying user-friendly procedures)은 예를 들어 원격 심사나 2단계 제출 및 선정과정 등 제안자나 심사자의 자원투입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며, 마지막으로 투명성을 통한 신뢰 구축(building trust through transparency)은 신청자에게 가령 동료평가된 제안서를 완결적이고 투명하게 피드백함으로써 신뢰를 중시하는 것이 성공의 요인이라는 것이다
*techtrend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