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제조,직업교육의 혁신을 부른다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4-19
  • 등록일 2006-04-24
  • 권호
2005년 국무원이 <직업교육을 적극 발전시키는데 관한 국무원의 결정>을 반포한지 얼마 안되어 전국 직업교육 사업회의가 열렸다. <11차 5개년> 계획에서는 또 한번 직업교육을 적극 발전시키는데 관한 내용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이로부터 <중국 제조> 추진을 위한 중국 정부의 확고한 결심을 남김 없이 볼 수 있다. 현재 문제점은 국가 차원의 이런 <계획>과 <결심>이 있는 전제 하에서 학교와 교육부문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국가의 <11차 5개년> 계획에 발맞추어 수천만 명 나아가서 수억 명을 헤아리는 직업기술인재를 양성하는 이 전략임무를 어떻게 하루속히 완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첫째, 모든 방법을 다하여 현유의 각급 직업학교를 잘 운영해야 한다. 직업학교를 운영하는 가운데서 반드시 질과 양 두 가지 기본점을 보장해야 한다. 즉 학교 규모를 확대하고 학교 질을 높이며 새롭게 학교를 꾸려야 할 것이다. 많은 우수한 중등 직업학교들이 얼마 전에 있은 고등교육 규모 확대과정에서 고등 전문학교 혹은 대학교로 승격되었다. 그러므로 현재의 직업학교들을 잘 운영하자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둘째, 관례를 타파하고 직업교육 교과과정들을 대담하게 일반 고중에 도입시켜야 한다. 현재 대학교 진학률이 21%라고 할 때 여전히 40% 안팎(약 400만 명)의 고중 졸업생들은 대학교 낙방과 더불어 총망히 취업을 선택하게 된다. 그들이 고중단계에서 일정한 직업교육 혹은 창업교육을 받았다고 할 때 이는 그들에게 있어 얼마나 귀중한 인생 직업 재부인가! 일반 고중 교과서에 직업교육 교과과정들을 도입하는 이 조치는 새로운 세기 중국에서의 위대한 교과과정 개혁이 될 것이다. 더욱 중국 교육계의 한 차례 휘황한 도약이 될 것이다.

셋째, 대학교들에서도 211공정에 편입된 대학교외 모두 직업교육 과정들을 도입하거나 그 교과과정을 확대할 것을 건의한다. 뿐만 아니라 상당히 긴 한시기 동안 이 대학교들은 엔지니어와 고급 기능공을 양성하는 임무를 첫 자리에 놓아야 할 것이다. 진정 이렇게 돼야만 쟝저민(江澤民)이 베이징대학 탄생 100주년 기념대회에서 한 연설정신의 참뜻을 체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우리 대학교는 반드시 과학과 교육으로 국가를 진흥시키는 강대한 활력소가 되어야 한다. 교육은 반드시 경제 사회발전과 밀접히 결합되어야 하며 현대화 건설을 위해 여러 가지 인재를 공급하고 지식을 공헌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211공정에 편입된 대학교들이 주로 지식을 공헌하는 중임을 지녔다고 할 때 이밖의 대학교들의 기본 임무는 바로 <여러 가지 인재>를 공급하는 것이 아닐가?

넷째, 기업, 특히 대기업과 하이테크기업들을 격려하여 기술양성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기존 종업원들의 기술수준을 높이는 한편 신입 종업원들에 대한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먼저 교육을 받은 후 일터에 나서거나 혹은 자격증이 있어야 일터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물론 기업들에 대한 이면에서의 격려는 반드시 정책의 지지가 있어야 한다. 빈말로서는 이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해롭다. 결국 국가와 민족 그리고 인민의 희망과 복지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다섯째, 교원대오를 대대적으로 개조하여 그들이 상술한 교육개혁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교육개혁은 결코 탁상공론이 아니다. 교육계는 반드시 등소평이 발기한 <실사구시하고 사상을 해방하는> 대토론을 열어 관념을 갱신하고 낡은 것을 밀어버리고 새 것을 창조함으로써 중국 직업교육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사상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기회는 시간보다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다. 21세기 초 중국의 새로운 궐기와 더불어 직업교육도 역사상 규모가 제일 크고 또 가장 우월한 발전기회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변화 및 새로운 경제의 발전에 따른 산업 구조조정과 최적화를 위한 인력자원의 수요는 직업인재의 양성에 광활한 발전공간을 제공해주고 있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도시화, 현대화 및 농촌인구의 도시로의 이동 등 현상과 추세는 모두 직업교육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오고 있다. 개혁과 발전은 현대 새로운 직업교육을 부르고 있다.

상술한 요구에 도달했을 때 중국의 직업교육은 꼭 수천만 나아가서 수억 명의 직업기술인재를 양성해낼 수 있을 것이며 <중국 제조> 추진을 위해 큰 공헌을 할 것이다.

*techtrend참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