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 과학재단의 국제협력실 업무에 대한 외무평가보고-1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국립과학재단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15
- 등록일 2006-04-24
- 권호
개요: 미국 과학재단 국제협력실의 업무를 외부전문가의 시각으로 평가, 진단하기 위하여 총 9명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전문가위원회(Committee of Visitors: COV)는 지난 2005년 4월 11일~13일 미국과학재단 국제협력실(Office of Intern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OISE)의 업무, 즉 제출된 과제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현재 NSF의 전략적 목표 및 연간 성과목표와 연관된 과제지원 결과, 지난 COV의 제안에 대한 국제협력실의 조치사항, 국제 연구 및 교육 필요성에 대한 OISE의 대응과 직원들의 활동, 그리고 COV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이슈들을 검토, 분석하였다.
국제협력실의 운영배경
미국 과학재단의 국제협력실은 2002년 1월부터 총재실 직속의 국제협력실로 개편되었으며 그 주된 임무는 다음과 같다.
1. 주요 임무
1) 국제 과학기술협력 활동의 실질적인 협의 부서(focal point)
2) NSF 전반에 걸친 종합적 국제협력전략의 개발
3) NSF의 관심에 부합하는 혁신적이고 촉진제가 될 수 있는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운영
2. 조직구성
1) 1실 5과(전 세계 5개의 지역별 그룹으로 나눔)로 구분
해외주재사무실로 파리, 동경, 베이징에 3개 사무실 운영
2) 국제협력실 전체 스탭은 총 38명
3) 국제협력실 1년 예산은 2005년 기준으로 34백만 달러
A. 국제협력실에 제출된 과제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COV는 국제협력실로부터 300개의 재킷(jacket: 건당 과제신청 및 지원에 관한 일련의 모든 서류)을 받아 이 중 125개의 재킷을 성격별, 지역별, 선정 과제 및 탈락 과제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함
평가 결과 및 추천안
1. 여러 기관들을 지원하는 과제의 경우 국제협력실의 영향력은 매우 낮으며 이러한 과제는 국제협약에 따라 NSF의 고위직이나 연방정부에 의해 결정됨
2. 국제협력실에서 지원한 과제의 수준은 매우 우수함
과제책임자에 대한 신뢰성, 국제파트너 및 장소 선정, 프로그램 관리자의 평가, 협상 및 의사결정능력 등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3. 과제 평가 시 내부 및 외부의 전문가 의견 참조
- 과학 기술적 전문내용의 경우 다른 전문부서의 의견을 참조하고 국제협력실은 자체적으로 외국 파트너를 평가하고 내부 및 외부의 의견을 조정함
- 지역적 분야별 평가자 선정의 어려움으로 과제 평가는 우편으로 실시하며 외국의 과학자도 참여하고 있음. 이에 COV는 OISE 담당자가 외국 과학자에게 NSF의 평가기준, 즉 과학적 장점 및 연구 결과에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도록 하며 모든 평가자에게 국제 과제 평가 시 추가의 기준을 명백히 밝히도록 권고함
4. 국제협력실 담당자들은 타부서로부터 지원금을 유치하는 비즈니스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OISE 과제 중 50%를 공동으로 지원하여 레버리지(leverage)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타부서의 프로그램 담당자들로부터 적극적으로 의견이나 우선순위 사업에 대한 정보를 개진하고 있음
5. COV는 OISE가 과제선정 시 여성, 소수민족, 지역적, 분야별, 개발도상국 등 분배 순위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여성과 소수민족의 지원을 증가시키고 개발도상국과의 국제협력을 통한 기회를 활용하도록 권고함
6. COV는 NSF의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의 개선이 필요하며 국제협력실에는 더욱 더 필요하다고 권고함. OISE의 경우 공동 지원된 과제, 다른 부서의 과제에 포함된 국제 활동 등에 대한 통계가 필요하며 NSF의 경우는 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정보를 암호화하고 Fastlane을 통해 평가자의 인구통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야 한다고 지적함
*techtrend참조
국제협력실의 운영배경
미국 과학재단의 국제협력실은 2002년 1월부터 총재실 직속의 국제협력실로 개편되었으며 그 주된 임무는 다음과 같다.
1. 주요 임무
1) 국제 과학기술협력 활동의 실질적인 협의 부서(focal point)
2) NSF 전반에 걸친 종합적 국제협력전략의 개발
3) NSF의 관심에 부합하는 혁신적이고 촉진제가 될 수 있는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운영
2. 조직구성
1) 1실 5과(전 세계 5개의 지역별 그룹으로 나눔)로 구분
해외주재사무실로 파리, 동경, 베이징에 3개 사무실 운영
2) 국제협력실 전체 스탭은 총 38명
3) 국제협력실 1년 예산은 2005년 기준으로 34백만 달러
A. 국제협력실에 제출된 과제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COV는 국제협력실로부터 300개의 재킷(jacket: 건당 과제신청 및 지원에 관한 일련의 모든 서류)을 받아 이 중 125개의 재킷을 성격별, 지역별, 선정 과제 및 탈락 과제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함
평가 결과 및 추천안
1. 여러 기관들을 지원하는 과제의 경우 국제협력실의 영향력은 매우 낮으며 이러한 과제는 국제협약에 따라 NSF의 고위직이나 연방정부에 의해 결정됨
2. 국제협력실에서 지원한 과제의 수준은 매우 우수함
과제책임자에 대한 신뢰성, 국제파트너 및 장소 선정, 프로그램 관리자의 평가, 협상 및 의사결정능력 등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3. 과제 평가 시 내부 및 외부의 전문가 의견 참조
- 과학 기술적 전문내용의 경우 다른 전문부서의 의견을 참조하고 국제협력실은 자체적으로 외국 파트너를 평가하고 내부 및 외부의 의견을 조정함
- 지역적 분야별 평가자 선정의 어려움으로 과제 평가는 우편으로 실시하며 외국의 과학자도 참여하고 있음. 이에 COV는 OISE 담당자가 외국 과학자에게 NSF의 평가기준, 즉 과학적 장점 및 연구 결과에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도록 하며 모든 평가자에게 국제 과제 평가 시 추가의 기준을 명백히 밝히도록 권고함
4. 국제협력실 담당자들은 타부서로부터 지원금을 유치하는 비즈니스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OISE 과제 중 50%를 공동으로 지원하여 레버리지(leverage)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타부서의 프로그램 담당자들로부터 적극적으로 의견이나 우선순위 사업에 대한 정보를 개진하고 있음
5. COV는 OISE가 과제선정 시 여성, 소수민족, 지역적, 분야별, 개발도상국 등 분배 순위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여성과 소수민족의 지원을 증가시키고 개발도상국과의 국제협력을 통한 기회를 활용하도록 권고함
6. COV는 NSF의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의 개선이 필요하며 국제협력실에는 더욱 더 필요하다고 권고함. OISE의 경우 공동 지원된 과제, 다른 부서의 과제에 포함된 국제 활동 등에 대한 통계가 필요하며 NSF의 경우는 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정보를 암호화하고 Fastlane을 통해 평가자의 인구통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야 한다고 지적함
*techtrend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