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중국, 국제경쟁력있는 기업 육성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기술정보연구소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4-24
  • 등록일 2006-04-27
  • 권호
국제경쟁력있는 기업을 육성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자주 혁신 전략을 실시하고 창신형 국가를 건설하는 중요한 임무이다.

국제경쟁력있는 기업을 육성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중국 경제 사회발전을 촉진시키는데 필요 할뿐만 아니라 발전국가 및 다국적 기업으로부터 오는 압력에 대응하는데 필요하다. “11차 5개년 계획”기간 중국은 과학기술분야 투자를 대폭 증가하였으며 정책 조치를 정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국가과학기술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격려 인도하였다. 기업이 연구개발투입과 기술 혁신의 주체가 되고 기업의 자주 혁신능력 및 국제경쟁력의 증가를 촉진하였다.

“11차5개년 계획”기간은 기업의 자주 혁신능력을 빠른 속도로 높이는 시기이다. 정보통신, 자동차 등 산업에서 자주 혁신 기업이 많이 솟아났다. 이런 기업들은 자체로 기술 및 상품을 개발하므로 국제시장 확장에 좋은 성과를 얻었으며 국가경쟁력을 높였다. 동시에 중국정부는 기업의 연구개발 및 연구성과 상품화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였으며 기업의 자체 연구개발능력을 키우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이 자주 혁신에서의 중요한 위치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과학기술은 세계선진기술과 아직 많은 거리가 있다. 기업의 자주 혁신능력, 핵심경쟁력이 약하며 특히 발명특허의 신청 및 출원 수량이 매우 적은 문제가 있다. 동시에 발전국가 및 다국적기업의 지적 소유권 봉쇠문제는 중국 기업의 발전을 제약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제경쟁력있는 기업을 육성하는 것은 현재 실현해야 할 긴박한 임무이며 장기전략이다.

과학기술 경쟁은 현재 세계 종합국력 경쟁의 초점이고 자주 혁신능력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며 기업은 기술 혁신의 주체이다. 기업이 자주 혁신능력, 국제경쟁력을 강화하지 않으면 국가 자주 혁신 전략을 실시하는 돌파구가 없게 된다. 창신형 국가건설, 쇼캉(小康)사회를 건설하는 목표하에 기업의 자주 혁신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이 기술 혁신 중에서 주도위치를 강화해야 한다. 국제경쟁력있는 기업을 육성하는 것은 혁신 전반을 주도하는 큰 문제로 간주해야 한다.

현재 국제경쟁력있는 기업을 육성하는 것은 4가지 부분을 중점에 두어야 한다.

첫째 자주 혁신을 견지한다. 이것은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기점이다.

둘째 자주 지적 소유권의 핵심기술을 잘 장악해야 한다. 이것은 기업 국제경쟁력의 관건일환이다. 핵심기술은 기업 발전의 중요한 추진력이다.

셋째 국제적인 합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것은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다. 국제합작에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것은 외국선진기술과 선진 경영이념을 습득할 수 있는 경로이다. 기업이 국제적인 중요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을 격려 지지하므로 국제 합작 프로젝트를 통하여 자체로 연구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든다.

넷째 다국적경영을 격려한다. 이것은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유효한 방법이다. 조건이 구비된 국내기업의 다국적경영을 격려한다. 이런 기업으로 하여금 발전한 나라와 지역에 가서 다국적기업과 직접 경쟁을 하므로 중국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