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일본 종합과학기술회의, ’07년 과학기술정책과 이공계인재 육성방안을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4-25
- 등록일 2006-04-28
- 권호
과학기술 창조입국의 초석은 이를 지탱할 우수한 인재 육성이다. 과학기술의 세계적 경쟁이 높아가는 가운데, 각 국가 모두 인재육성을 위한 이과 및 수학 교육의 충실을 중요과제로 삼아 정책적 강화를 꾀하고 있다.
일본은 저출산 경향(小子化)에 의해 경제력, 과학기술력이 저하해 가는 조건하에 있는 현실을 직시하여, 특히 앞으로 일본에서 필요로 하는 최고수준의 인재육성을 지향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이과 및 수학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개혁플랜 2006에서 지적된 초 중 고 교육의 근본적 충실을 시책의 격단 강화를 통해 도모해야 한다.
1. 학교교육의 개선과 충실
(1) 톱 수준의 인재육성
세계의 톱 수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에 대하여 월반 등 학교교육제도 안에서 예외적으로 육성한다. 슈퍼 사이언스 스쿨의 강화, 국제과학올림픽 등 참가 촉진 및 수준 높은 대학과 제휴를 강화한다.
(2) 외부 전문인재에 의한 지도강화
충실한 이과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외부의 전문인재를 활용한 이과지도자의 전국 배치, 과학기술에 관한 지식의 연수 등에 의해 교원의 지도력를 강화한다.
(3)기반이 되는 지식의 확보
체계적으로 지식을 배우는 것은 독창성, 사고력, 응용력 등의 능력 및 흥미관심을 양성하는 기반이다. 기반이 되는 지식을 철저히 확보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국제적으로 비교하여 고도화, 교과서의 지식내용확충, 지식을 실감시키기 위해 실험 및 관찰 등의 학습을 충실한다.
이과계로 진학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대학수험의 안이적인 과목선택이 아닌 폭넓은 이과 교과목을 이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의 재량에 따라 최신의 과학적 지식을 배우게 하는 것을 장려한다. 문과계에 진학하는 사람에 대해서도 이과, 수학과를 적절하게 배우게 하는 것이 과학기술창조입국을 지탱하는 국민의 소양을 높이기 위해 중요하다.
2. 다양한 전략적 접근의 강화
-과학캠프 등 사업의 전국적 전개. 과학봉사자 등의 인재를 활용, 전국의 과학관이나 박물관의 활성화
-과학기술 커뮤니케이터의 육성, 네트워크화 및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기술 정보의 유통 촉진
-모든 연구기관, 대학, 학회 및 협회, 기업 연구소 등의 과학기술 아웃리치 활동의 철저
-관련사업을 전체로 한 보다 효과적 결과를 위한 코디네이트 기능의 강화
일본은 저출산 경향(小子化)에 의해 경제력, 과학기술력이 저하해 가는 조건하에 있는 현실을 직시하여, 특히 앞으로 일본에서 필요로 하는 최고수준의 인재육성을 지향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이과 및 수학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개혁플랜 2006에서 지적된 초 중 고 교육의 근본적 충실을 시책의 격단 강화를 통해 도모해야 한다.
1. 학교교육의 개선과 충실
(1) 톱 수준의 인재육성
세계의 톱 수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에 대하여 월반 등 학교교육제도 안에서 예외적으로 육성한다. 슈퍼 사이언스 스쿨의 강화, 국제과학올림픽 등 참가 촉진 및 수준 높은 대학과 제휴를 강화한다.
(2) 외부 전문인재에 의한 지도강화
충실한 이과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외부의 전문인재를 활용한 이과지도자의 전국 배치, 과학기술에 관한 지식의 연수 등에 의해 교원의 지도력를 강화한다.
(3)기반이 되는 지식의 확보
체계적으로 지식을 배우는 것은 독창성, 사고력, 응용력 등의 능력 및 흥미관심을 양성하는 기반이다. 기반이 되는 지식을 철저히 확보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국제적으로 비교하여 고도화, 교과서의 지식내용확충, 지식을 실감시키기 위해 실험 및 관찰 등의 학습을 충실한다.
이과계로 진학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대학수험의 안이적인 과목선택이 아닌 폭넓은 이과 교과목을 이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의 재량에 따라 최신의 과학적 지식을 배우게 하는 것을 장려한다. 문과계에 진학하는 사람에 대해서도 이과, 수학과를 적절하게 배우게 하는 것이 과학기술창조입국을 지탱하는 국민의 소양을 높이기 위해 중요하다.
2. 다양한 전략적 접근의 강화
-과학캠프 등 사업의 전국적 전개. 과학봉사자 등의 인재를 활용, 전국의 과학관이나 박물관의 활성화
-과학기술 커뮤니케이터의 육성, 네트워크화 및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기술 정보의 유통 촉진
-모든 연구기관, 대학, 학회 및 협회, 기업 연구소 등의 과학기술 아웃리치 활동의 철저
-관련사업을 전체로 한 보다 효과적 결과를 위한 코디네이트 기능의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