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전세계 정보격차(digital divide) 감소 추세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영국
- 생성기관 informationweek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4-26
- 등록일 2006-05-02
- 권호
전 세계적으로 컴퓨터와 모바일 폰을 통해 인터넷을 접속하는 이용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정보격차(digital divide)가 점점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컴퓨터 제조업체인 IBM社와 영국의 Economist紙는 공동으로 발표한 정보격차에 관한 보고서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중국과 인도 내 상하이(Shanghai)와 방갈로(Bangalore) 지역 등은 선진국과 이미 동등한 수준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폰을 통한 정보접속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아울러 정보격차 수준 해소를 위한 중요한 동인은 정부가 교육 등에 얼마나 정보기술을 잘 활용하는 가에 달려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노력, 공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온라인 접속 등도 중요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 국가들이 지난 몇 년 간 정보격차 감소 측면에서 더 나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인터넷 등에 대한 정보접속 수준이 높은 국가는 9.0을 기록(10을 기준으로 함)한 덴마크이며, 가장 뒤처진 국가는 2.9점인 아제르바이잔(Azerbaijan)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와 중국은 4.25점, 4.02점으로 53위와 57위를 각각 기록하였다.
스위스는 3위 안에 들었는데, 스웨덴은 지난번 조사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가 이번에 4위로 내려앉았다. 미국은 2위 자리를 계속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활용도 면에서 덴마크는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무선과 유선을 이용한 인터넷뱅킹과 세금 납부 등과 같은 정부 서비스 등을 잘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공부문에서 전자조달(e-procurement) 시스템 도입으로 덴마크 기업들은 5천만 유로(6천 2백 1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고, 납세자들은 최고 연간 1억 5천만 유로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들이 덴마크의 사례를 따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초고속 인터넷 활용도와 이를 통한 양질의 교육 제공 면에서 상위 10개 국가 중 6개 국가가 유럽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호주, 캐나다, 홍콩 등이 10위 안에 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techtrend참조
미국의 컴퓨터 제조업체인 IBM社와 영국의 Economist紙는 공동으로 발표한 정보격차에 관한 보고서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중국과 인도 내 상하이(Shanghai)와 방갈로(Bangalore) 지역 등은 선진국과 이미 동등한 수준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폰을 통한 정보접속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아울러 정보격차 수준 해소를 위한 중요한 동인은 정부가 교육 등에 얼마나 정보기술을 잘 활용하는 가에 달려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노력, 공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온라인 접속 등도 중요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 국가들이 지난 몇 년 간 정보격차 감소 측면에서 더 나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인터넷 등에 대한 정보접속 수준이 높은 국가는 9.0을 기록(10을 기준으로 함)한 덴마크이며, 가장 뒤처진 국가는 2.9점인 아제르바이잔(Azerbaijan)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와 중국은 4.25점, 4.02점으로 53위와 57위를 각각 기록하였다.
스위스는 3위 안에 들었는데, 스웨덴은 지난번 조사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가 이번에 4위로 내려앉았다. 미국은 2위 자리를 계속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활용도 면에서 덴마크는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무선과 유선을 이용한 인터넷뱅킹과 세금 납부 등과 같은 정부 서비스 등을 잘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공부문에서 전자조달(e-procurement) 시스템 도입으로 덴마크 기업들은 5천만 유로(6천 2백 1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고, 납세자들은 최고 연간 1억 5천만 유로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들이 덴마크의 사례를 따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초고속 인터넷 활용도와 이를 통한 양질의 교육 제공 면에서 상위 10개 국가 중 6개 국가가 유럽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호주, 캐나다, 홍콩 등이 10위 안에 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techtrend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