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기술전략맵 2006 책정에 대하여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4-28
  • 등록일 2006-05-02
  • 권호
1.목적
기술전략맵 및 그 책정 프로세스를 통하여
(1)경제산업성이 실시하고 있는 연구개발투자에 관한 취지, 내용, 성과 등에 대하여 국민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다.
(2)기술동향, 시장동향 등을 파악하고 정부 또는 민간에 있어 추진해야 할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기술(중요기술)을 압축하고, 경제산업성이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기획, 입안하기 위한 정책인프라를 정비한다.
(3)전문화되는 기술, 다양화되는 시장요구, 사회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이(異)분야, 이(異)업종과의 제휴, 기술융합, 관련시책의 일체적 실시 등을 촉진함과 동시에 산학관의 총합력을 결집한다.

2.내용
(1)도입 시나리오
연구개발과 함께 그 성과를 제품, 서비스 등으로 사회, 국민에게 제공해 나가기 위해 추진해야 할 관련시책을 포함하여 기재한 것
(2)기술맵
시장요구, 사회요구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과제, 요소기술, 요구되는 기능 등과 그 중에서 중요기술을 선정하여 기재한 것
(3)로드맵
연구개발 추진에 의한 요소기술, 요구되는 기능 등의 향상, 진전을 시간축상에서 마일스톤으로서 기재한 것

3.책정분야 (밑선을 그은 분야는 기술전략맵 2006에서의 신규책정분야)
○정보통신분야
반도체, 컴퓨터, 네트워크, 유저빌리티(디스플레이 등),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불휘발성 메모리
○라이프사이언스 분야
창약· 진단, 진단· 치료기기, 재생의료, 암 대책등에 이바지하는 기술
○환경, 에너지 분야
이산화탄소 고정화 및 유효이용, 탈프론대책, 화학물질종합관리, 3R, 에너지(2005년10월에 책정)
○제조산업분야
로봇, 항공기, 우주, 나노테크, 부재, MEMS, 그린바이오, 초전도, 인간생활

4.대책프로세스
○기술맵 및 로드맵에 관하여 책정분야마다 NEDO등(이산화탄소 고정화, 유효이용에 관해서는 RITE)에 설치된 특별전문위원회에서 원안을 작성한다. 본 특별전문위원회에서는 대학, 민간기업(제품, 부품, 재료, 장치메이커 등), 경제산업성(각분야를 소관하는 담당국, 담당과 및 산업기술환경국), NEDO 등,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이 참가하여 산학관의 지견(知見)을 집결한다.
○또한 산업구조심의회 산업기술분과회 연구개발 소위원회에서 심의한다.(지난 해 7월부터 4회개최)

5.기술전략맵 2006의 특징
(1)내용면에서의 진화
①지난해 책정된 전체 분야에 대하여 A)새로운 맵 추가, B)개별분야마다의 기술영역의 추가, 수정, C)기술동향에 맞춘 리뷰의 관점에서 수정
②나노테크, 3R 등의 분야에 있어서 국제동향 및 연구개발의 동향 등을 토대로 한 형태의 표준화를 위한 시나리오를 책정
③특허동향, 연구동향 등을 조사함으로 기술전략맵상에서 표시된 기술과제의 경쟁력을 분석
(2)국민에의 설명
기술전략맵에 기재된 기술의 개발에 성공하여 실용화된 경우의 장래사회의 이미지의 예를 국민생활에 직결한 5개의 장면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6.기술전략맵의 활용 및 보급
○관민에 있어 연구개발의 전략, 내용 등을 검토하기 위해 참고로서 산업계, 지역, 학계 등에 보급시킨다.
○경제산업성, NEDO의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동시에 검색시스템을 구축한다.
○위의 프로세스에 의해 연구개발에 관한 정보, 지견을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구축된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향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7.향후의 예정
○경제산업성, NEDO 등의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폭넓게 외부에서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기술전략맵을 연구개발의 기획, 실시에 종사하는 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으로서도 활용한다. 당핵 맵을 폭넓게 산업계 뿐만 아니라, 지역의 중소기업 및 학협회 등에도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논의를 거듭하여 새로운 산학관제휴 활동을 가속한다.
○2007년도에 있어서도 기술동향 및 시장동향 등을 기초하여 계속하여 수정해 나갈 예정이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