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구체화를 향해 요구되는 리더십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내각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4-28
  • 등록일 2006-05-03
  • 권호
제3기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중요 포인트중의 하나는 과학기술이 일본의 미래를 결정짓는 극히 중요한 요소임을 일반인에게 인식시키는 것이다. 국민과 함께 과학기술에 대해 재고해 가는 자세를 중시한 정책이다.

본 계획 책정은 다운 미팅과 퍼블릭 코멘트 등에 의해 의견을 모았고, 대부분 논의되었다. 예를 들어 제3기 계획에서는 여성 연구자의 채용목표를 25%로 정했고 이에 다수가 수치목표에 찬성했고, 박사과정 후기의 학생 20%정도가 생활비 정도의 수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이에 대해서는 미국에서는 평균 40%정도, 연구에 열심인 대학에서는 100%로 20%로는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제도적 지원이 없는 일본의 경우, 우선 20%정도부터 출발하여 원안대로 안정을 이루었다.

제3기 계획은 기본정책이다. 내실을 기하기 위해 종합과학기술회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앞으로 일본은 본질적인 기술과학을 추진해가야 한다. 뜻하지 않은 연구에서 장래로 이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기초연구를 어떤 식으로 응원해 갈 것인가도 중요하다. 또한 인재육성에 대해 종합과학기술회의가 어떠한 구체적 시책안을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해 전 성청에 구체적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기술 진흥상의 장애인 제도적 애로 해소에 진입한다.

본 자료 내의 다른 기사: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작성작업에 연관하여>
-간단한 경위
-사회와 국민에게 지지 받는 과학기술
-분야별 추진전략
-기본정책 전문위원회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개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