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신국가 에너지 전략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3-30
- 등록일 2006-05-04
- 권호
1.“신 ·국가에너지 전략” 정책의 경위와 향후 계획
경제산업성에서는 요즘의 어려운 에너지정세를 감안하고 종합자원에너지 조사회 종합부회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에너지안전보장을 핵심으로 “신·국가에너지 전략”의 책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중간보고서를 3월29일에 실시된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도 소개했으며, 향후 전략항목의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하여 “신 ·국가에너지 전략”으로서, 2006년 5월을 목표로 최종 작성할 예정이다.
2.“신 ·국가에너지 전략 중간보고서”의 개요
전략에 의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는 1)국민에게 신뢰받는 에너지안전보장의 확립, 2)에너지문제와 환경문제의 일체적 해결로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의 확립, 3)아시아, 세계의 에너지 수급문제 극복의 적극적 공헌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일본의 확실한 에너지 수급구조의 실현, 2)대외관계, 국제공헌의 강화, 3)긴급시 대응책의 충실을 기본적 시점으로, 또는 관민이 공유해야 할 장기적인 방향성으로서 이하의 수치목표를 설정했다.
① 에너지절약 목표
향후, 2030년까지 30%의 효율개선을 목표한다.
② 석유의존도 저감목표
향후 2030년까지 40%를 밑도는 수준으로 목표한다.
③ 운송부문에 있어 석유의존도 저감목표
향후, 2030년까지 80%정도로 목표한다.
④ 원자력발전목표
2030년 이후에도 원자력발전의 비율을 30-40%정도 또는 그 이상을 목표한다.
⑤ 해외에서의 자원개발목표
향후, 더욱더 확대하여 2030년까지 40%정도를 목표한다.
목차
1. 현상에 대한 기본인식
(1) 에너지 수급의 구조변화
(2) 정정(政情) 불안 등의 시장혼란요인 및 혼란증폭요인의 다양화
(3) 각 국에서 추진하는 에너지 전략의 재구축
2. 신 ·국가에너지 전략의 구축
(1) 전략에 의해 실현을 목표하는 것
(2) 전략책정에 있어서의 기본적 시점
(3) 전략실시시 유의사항
(4) 수치목표의 설정
(5) 전략항목의 개요
경제산업성에서는 요즘의 어려운 에너지정세를 감안하고 종합자원에너지 조사회 종합부회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에너지안전보장을 핵심으로 “신·국가에너지 전략”의 책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중간보고서를 3월29일에 실시된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도 소개했으며, 향후 전략항목의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하여 “신 ·국가에너지 전략”으로서, 2006년 5월을 목표로 최종 작성할 예정이다.
2.“신 ·국가에너지 전략 중간보고서”의 개요
전략에 의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는 1)국민에게 신뢰받는 에너지안전보장의 확립, 2)에너지문제와 환경문제의 일체적 해결로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의 확립, 3)아시아, 세계의 에너지 수급문제 극복의 적극적 공헌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일본의 확실한 에너지 수급구조의 실현, 2)대외관계, 국제공헌의 강화, 3)긴급시 대응책의 충실을 기본적 시점으로, 또는 관민이 공유해야 할 장기적인 방향성으로서 이하의 수치목표를 설정했다.
① 에너지절약 목표
향후, 2030년까지 30%의 효율개선을 목표한다.
② 석유의존도 저감목표
향후 2030년까지 40%를 밑도는 수준으로 목표한다.
③ 운송부문에 있어 석유의존도 저감목표
향후, 2030년까지 80%정도로 목표한다.
④ 원자력발전목표
2030년 이후에도 원자력발전의 비율을 30-40%정도 또는 그 이상을 목표한다.
⑤ 해외에서의 자원개발목표
향후, 더욱더 확대하여 2030년까지 40%정도를 목표한다.
목차
1. 현상에 대한 기본인식
(1) 에너지 수급의 구조변화
(2) 정정(政情) 불안 등의 시장혼란요인 및 혼란증폭요인의 다양화
(3) 각 국에서 추진하는 에너지 전략의 재구축
2. 신 ·국가에너지 전략의 구축
(1) 전략에 의해 실현을 목표하는 것
(2) 전략책정에 있어서의 기본적 시점
(3) 전략실시시 유의사항
(4) 수치목표의 설정
(5) 전략항목의 개요